[이코노믹데일리]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고용 비자(H-1B) 수수료를 10만 달러로 대폭 인상하면서 미국 현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우리나라 건설사들의 인력 운용에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당장 현장 중단이나 대규모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파견 인력 조정과 현지 채용 확대 등 대응 방안 마련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H-1B 수수료를 기존 1000달러에서 100배 인상한 가운데, 현지에서 직접 공사를 수행 중인 건설사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간) 관련 포고문에 서명해 인상 조치를 확정했다.
국내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수수료 인상 영향이 없지는 않겠지만, 특히 설계·엔지니어링 등 전문직 분야에서 타격이 클 수 있다”며 “투자가 아닌 직접 시공을 맡고 있는 기업은 인건비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어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벌써 현지 채용을 늘린다는 얘기가 들린다”며 “향후 착공 예정 사업에서는 인력 수급 변수가 될 수 있는 만큼, 한국을 대상으로 한 별도 비자 쿼터가 신속히 논의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인상 조치는 신규 H-1B 신청자에게 적용돼, 단기적으로 현장 파견 중단이나 공정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우리 건설사들은 그동안 H-1B보다는 주재원 파견용 L-1, 투자자 비자인 E-2, 비농업 단기 근로 비자인 H-2B 등을 주로 활용해왔다.
다만 최근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한국 노동자 구금 사태 이후 비자 규제가 강화되는 흐름과 맞물리면서, 주재원 외 현지 채용을 늘릴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수수료가 100배 오르면 기업은 비용 부담을 고려해 파견 인원을 줄일 수밖에 없다”며 “미국 정부의 의도는 결국 현지 채용 확대 압박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경우 비용 부담뿐 아니라 숙련 인력 확보 장벽도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