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원빈 포항공과대학교 교수가 24일 오전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사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6G RIS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사진=이석훈 기자]
24일 오전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LG유플러스 본사에서 '차세대 안테나 기술 세미나'를 열고 6G 이동통신 서비스 구현의 핵심인 주파수 커버리지 확장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환경에서 세계최초 실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해당 연구개발에 참여한 홍원빈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와 조제훈 LG유플러스 네트워크 부문 엑세스선행기술개발팀장이 참석했다.
RIS 기술이란 6G 후보 주파수 대역인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주파수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기술이다.
실증 성공에 앞서 LG유플러스와 홍원빈 교수팀은 지난해부터 산학협력 과제로 6G RIS 기술 연구에 착수, 주파수를 반사·투과·흡수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100㎓ 이상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전력 소모 없이 작동함을 확인했다
이어 홍교수는 RIS 기술을 활용하면 전파 방해 요인이 많은 곳에서도 충분히 빠른 속도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동 경로를 조절해 전파 이동을 막는 지형물을 피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타일을 배치한 후 반사각을 응용해 전파 이동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벽에 의해 전파가 유입될 수 없는 음영지역까지도 직접적인 신호를 보내는 효과가 생긴다"고 밝혔다.
또 주파수를 조절해 개인 사생활을 보호하는 보안공간도 구현 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는 "주파수 크기에 따라 투과할 수 있는 영역도 다르다"며 "RIS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특정 공간의 주파수를 차단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LG유플러스 측은 RIS 외에도 주파수 확장과 서비스 지역 확장, 네트워크 확장 세 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선행기술 확보에 전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RIS 기술 관련 기자 Q&A를 진행 중인 조제훈 LG유플러스 네크워크부문 엑세스선행기술개발팀장과 홍원빈 포항공과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의 모습[사진=이석훈 기자]
이어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자사 측에서 기울인 노력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는 "기술을 제고시키려고 2021년 12월에 국내 최초로 멀티벤더 오픈랜 장비 연동 검증을 했고 글로벌 장비 제조사와 국내 중소기업 간 협력을 통해 네트워크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많은 성과를 거뒀다"고 전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