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8.78p(0.15%) 오른 4만6136.0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51p(0.26%) 상승한 6661.2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07.09p(0.48%) 오른 2만2591.15를 기록했다.
지난주 엔비디아-오픈AI 간 1000억달러 계약의 '순환출자' 의혹과 오라클의 180억달러 회사채 발행으로 AI 투자 경계감이 확산됐지만, 이날은 낙관론이 우세했다.
엔비디아는 2% 급등하며 AI 테마의 건재함을 과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1% 안팎 상승했다.
오픈AI가 엣시와 쇼피파이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제휴해 챗GPT 내 결제 기능을 출시한 것도 AI 기업의 수익 모델 다각화 기대감을 높였다.
베누 크리슈나 바클레이즈 미국 주식 전략 총괄은 "AI 설비투자는 둔화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다른 산업들도 AI 인프라 투자 급증의 수혜를 입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오후 들어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며 상승폭이 축소됐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장중 1.6% 상승했다가 0.16% 오름세로 마감했다.
EA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주도 컨소시엄에 550억달러(약 80조원)에 매각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주가가 4.5% 급등했다. 인수 컨소시엄은 비상장 전환 과정에서 소액주주 지분을 주당 210달러에 매입하기로 했다.
시장은 이를 미국 경제 활력의 신호로 해석했다. 대형 M&A는 경기 확장 국면의 주요 지표로 여겨진다.
알리바바는 홍콩 증시 강세에 이어 뉴욕에서도 4%대 상승했다. 최근 알리바바는 AI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연방정부의 2025 회계연도 마지막 날인 30일까지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정부 기능이 일시 중단된다. 상원은 7주간 효력을 갖는 임시 예산안을 30일 재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부터 의회 지도부와 셧다운 회피 방안을 논의 중이다. 역사적으로 셧다운이 증시에 큰 충격을 주지는 않았지만, 주요 경제지표 발표 지연으로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노동부는 셧다운 시 10월 3일 예정된 9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 발표를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종전 방안에 동의하면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3.45% 폭락했다. 이에 셰브런과 엑손모빌은 2% 넘게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1.91%)와 통신서비스가 하락했고 나머지는 모두 상승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2월까지 기준금리 50bp 인하 확률은 68.2%로 전날(65.4%)보다 상승했다. 변동성 지수(VIX)는 5.43% 오른 16.12를 기록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