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시스템 통합(SI) 업계도 인공지능(AI)이라는 거대한 파도에 올라타 항해를 시작했다. 지난 1편 '통신 3사의 AI 대전'과 2편 글로벌 빅테크에 맞서는 '국내 플랫폼 기업의 AI 행보'에 이어 3편 국내 SI 기업들의 AI 도입 현황 전략을 심층 분석해본다. 2025년 신년을 앞두고 AI를 통해 고객사의 업무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특히 AI 시스템을 통해 단순 비용 절감을 넘어 고객의 업무·사업 환경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편집자주
◆ 생성형 AI...기업의 업무 혁신을 가속화하다
삼성SDS는 이러한 변화의 선두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패브릭스(FabriX)’와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을 앞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패브릭스는 기업의 핵심 업무 시스템과 생성형 AI를 매끄럽게 연결하며 브리티 코파일럿은 △이메일 초안 작성 △실시간 회의록 생성 및 요약 △자동 번역 등 일상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직원들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이러한 혁신적인 도구들은 기업들이 AI를 더욱 쉽게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삼성SDS는 황성우 대표에 이어 새롭게 내정된 이준희 대표 체제에서도 클라우드 사업에 생성형 AI를 접목하는 기존 사업 기조를 유지하며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인 사업 방향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LG CNS는 기업 고객을 위한 생성형 AI 플랫폼 ‘DAP 젠AI(DAP GenAI)’를 통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 이 플랫폼의 핵심은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학습 및 분석 기능으로 고객사의 니즈에 맞춰 최적화된 AI 모델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LLM옵스’ 기능은 민감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특정 목적에 맞는 맞춤형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보안 우려를 해소한다. LG CNS는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현 상황에서 고객사의 사업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영역을 발굴하고 이를 AI 기술로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사가 AI를 통해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도록 돕는다는 전략이다.
더불어 제조·유통·물류 등 분야별 AI 전환(AT) 모델과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며 SK그룹 차원의 AI 전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AI 시스템 통합 시장에서 입지를 빠르게 확보하고 매출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즉 산발적인 AI 도입이 아닌 체계적이고 검증된 AI 전환 로드맵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얻고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다.
◆ 제조 현장...AI로 스마트 팩토리 구현 가속화
포스코DX는 AI를 통해 제조 현장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제조 공정에 최적화된 산업용 AI 모델을 개발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로봇자동화센터를 신설하여 로봇을 활용한 생산 공정의 자동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포스코 그룹의 2차전지 소재 공장에서는 무인운송로봇(AGV)을 도입하여 물류 자동화를 실현했다. 이러한 혁신은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며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포스코DX는 여기서 더 나아가 AI 기반의 예지 정비 시스템을 도입하여 설비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등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hy(한국야쿠르트)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하며 생산 공정의 자동화와 데이터 관리를 혁신했다. 또한 CJ대한통운의 차세대 택배 시스템 ‘로이스 파슬’을 구축하여 택배 운영 전반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CJ올리브네트웍스의 기술력은 물류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고객에게 더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더 나아가 AI 기반의 물류 수요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재고 관리 최적화, 배송 효율성 향상 등을 지원하며 물류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 AI, 실질적 변화와 지속 성장 모델 제시가 관건
국내 SI 기업들은 AI를 활용해 고객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AI 시장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가운데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과 기관이 AI 시스템 도입에 적극적이지만 실제로 AI를 업무 전반에 체화해 활용하는 사례는 아직 제한적"이라며 "지금까지는 소규모 테스트를 통해 비용 절감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면 앞으로는 고객의 사업 환경에 맞춘 AI 시스템과 지속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SI 기업들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AI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고객사의 비즈니스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별·기업별 맞춤형 AI 솔루션 개발 △AI 도입에 따른 변화 관리와 교육 지원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보안과 윤리적 측면을 고려해 신뢰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AI는 산업 전반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 잡았다. 국내 SI 기업들은 혁신적인 기술력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통해 AI 시대의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 기술 도입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비즈니스 환경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노력이 이들의 미래를 보장할 것이다.
더 나아가 SI 기업들은 AI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모아야 한다. AI 인재 양성, 스타트업 협력을 통해 AI 산업의 기반을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2025년은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변곡점이 될 것이다. 국내 SI 기업들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글로벌 시장 진출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고객과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 생성형 AI...기업의 업무 혁신을 가속화하다
삼성SDS는 이러한 변화의 선두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패브릭스(FabriX)’와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을 앞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패브릭스는 기업의 핵심 업무 시스템과 생성형 AI를 매끄럽게 연결하며 브리티 코파일럿은 △이메일 초안 작성 △실시간 회의록 생성 및 요약 △자동 번역 등 일상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직원들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LG CNS는 기업 고객을 위한 생성형 AI 플랫폼 ‘DAP 젠AI(DAP GenAI)’를 통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 이 플랫폼의 핵심은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학습 및 분석 기능으로 고객사의 니즈에 맞춰 최적화된 AI 모델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K C&C는 한발 더 나아가 직무별 AI 솔루션 ‘솔루어(Solur)’와 더불어 AI 시스템 전환 경험이 부족한 기업·기관을 위한 벤치마킹 모델 제시에 주력하고 있다. 솔루어는 코딩, 인사, 재무·회계, 법무 등 다양한 직무 영역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인다.
더불어 제조·유통·물류 등 분야별 AI 전환(AT) 모델과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며 SK그룹 차원의 AI 전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AI 시스템 통합 시장에서 입지를 빠르게 확보하고 매출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즉 산발적인 AI 도입이 아닌 체계적이고 검증된 AI 전환 로드맵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얻고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다.
◆ 제조 현장...AI로 스마트 팩토리 구현 가속화
포스코DX는 AI를 통해 제조 현장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제조 공정에 최적화된 산업용 AI 모델을 개발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로봇자동화센터를 신설하여 로봇을 활용한 생산 공정의 자동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hy(한국야쿠르트)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하며 생산 공정의 자동화와 데이터 관리를 혁신했다. 또한 CJ대한통운의 차세대 택배 시스템 ‘로이스 파슬’을 구축하여 택배 운영 전반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CJ올리브네트웍스의 기술력은 물류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고객에게 더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더 나아가 AI 기반의 물류 수요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재고 관리 최적화, 배송 효율성 향상 등을 지원하며 물류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 AI, 실질적 변화와 지속 성장 모델 제시가 관건
국내 SI 기업들은 AI를 활용해 고객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AI 시장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가운데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SI 기업들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AI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고객사의 비즈니스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별·기업별 맞춤형 AI 솔루션 개발 △AI 도입에 따른 변화 관리와 교육 지원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보안과 윤리적 측면을 고려해 신뢰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AI는 산업 전반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 잡았다. 국내 SI 기업들은 혁신적인 기술력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통해 AI 시대의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 기술 도입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비즈니스 환경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노력이 이들의 미래를 보장할 것이다.
더 나아가 SI 기업들은 AI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모아야 한다. AI 인재 양성, 스타트업 협력을 통해 AI 산업의 기반을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2025년은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변곡점이 될 것이다. 국내 SI 기업들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글로벌 시장 진출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고객과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