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편의점 업계 3위 세븐일레븐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한다. 치열한 경쟁 속 최근 몇 년 새 부진한 실적을 내자 비용 절감 작업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세븐일레븐은 점포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지난 2022년 미니스톱을 인수했다. 이후 미니스톱 점포 통폐합 작업을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지출 비용이 커지며 세븐일레븐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세븐일레븐은 올해 3월 미니스톱 점포 합병을 100% 완료하고 본격적인 시너지 창출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대만큼의 성과가 나오지 않는 상황 속 불어나는 적자에 위태로운 모습이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전날 오전 사내 게시판에 희망퇴직을 시행한다고 공지했다. 대상은 만 45세 이상 사원 또는 현 직급 10년 이상 재직 사원이다.
대상자에게는 18개월 치 급여와 취업 지원금, 자녀 학자금 등을 준다. 신청 기한은 다음 달 4일까지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중장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체질 개선의 일환으로 인력 구조를 효율화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븐일레븐은 심화하는 편의점 업계 경쟁과 소비 침체 속에 실적이 내리막길을 걸으며 고전해왔다. 지난 2022년에는 경쟁사인 GS25와 CU의 격차를 따라잡기 위해 한국미니스톱(현 롯데씨브이에스711) 지분 100%를 3134억원에 인수, 반전을 노리기도 했다.
이후 세븐일레븐은 미니스톱 브랜드 점포에 대한 브랜드 전환과 동시에 수익성이 낮은 기존 점포를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2022년 1만4265개였던 점포 수는 지난해 말 기준 1만3130개까지 줄었다.
그러나 미니스톱 점포의 통합 작업을 거치면서 세븐일레븐이 지출하는 비용이 크게 늘었고, 2022년 이후 줄곧 적자 신세를 면치 못했다.
실제 코리아세븐의 판매관리비는 2021년 9188억원에서 2023년 1조2077억원으로 2년 만에 31.4%나 급증했다. 판매관리비 부담 확대는 수익성 악화로 직결됐다.
2022년 48억원이던 영업손실은 2023년 551억원, 올해 상반기 441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엔 매출마저 2조66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하면서 위기론이 대두됐다.
실적 하락 여파로 신용등급도 내려앉았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기업평가는 코리아세븐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하향 조정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세븐일레븐의 이번 희망퇴직 단행이 최근 이어진 고강도 비용 감축 작업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본다.
지난 7월 사옥을 서울 중구 수표동 시그니쳐타워에서 강동구 이스트센트럴타워로 옮겼고, 현재 현금인출기(ATM) 사업부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세븐일레븐이 미니스톱 통합 작업을 완료한 만큼 사업부문에서 본격적인 시너지를 창출해야만 실적 반등이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상품 경쟁력 강화에 본격 나선다는 계획이다. 자체 브랜드(PB)인 ‘세븐셀렉트’를 중심으로 가성비와 프리미엄 ‘투 트랙’으로 운영해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노린다.
특히 세븐일레븐은 글로벌 브랜드인 만큼 해외 편의점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상품의 직소싱을 확대한다. 오직 세븐일레븐에서만 만나 볼 수 있는 상품을 론칭해 고객몰이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패션·뷰티 특화 매장을 오픈하며 새로운 점포 운영전략으로 내세웠다. 세븐일레븐은 패션과 뷰티를 메인으로 K푸드, 체험형 놀이공간, PB 전시존 등이 집결된 ‘세븐일레븐 동대문던던점’을 시작으로 특화 매장을 집중 육성한다.
이 밖에 AI 기술을 접목해 가맹점 운영 편의를 높이고 모바일 앱 재편을 통해 ‘오프라인을 위한 온라인(O4O)’ 서비스도 강화한다. 택배·배달 등 고객 라이프 편의 서비스도 고도화할 방침이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수익성을 중심으로 사업·조직 구조를 바꾸려는 여러 가지 전략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번 희망퇴직 시행도 그 과정의 하나”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