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신화통신)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 기간 중국 농촌의 산업 기반이 한층 더 탄탄해졌다.
지난해 전국 규모 이상(연매출 2천만 위안 이상) 농산물 가공기업은 10만 개를 넘었고 매출은 약 18조 위안(약 3천582조원)에 달했다. 또한 각 지역은 농촌 특산물 산업 발전을 적극 추진하며 풍성한 성과를 거둬 농촌 진흥의 밝은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농산물 가공업은 밭에서 식탁까지 품질을 높이고 효율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곡물 생산량은 처음으로 7억t(톤)을 넘어 지난 2020년보다 3천700만t 증가했다. 면화·식용유·설탕의 생산량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과일·채소·차(茶), 육류·계란·유제품·수산물 공급이 안정적이고 품목도 다양하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 현급 이상 선도기업 9만4천 개 가운데 농산물 가공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윈난(雲南)커피, 자수이(柞水) 목이버섯, 옌안(延安) 사과...최근 수년간 각 지역은 지역 여건에 맞춰 특색 있는 향토 산업을 발전시키며 농촌 전자상거래 및 레저 등 신산업과 신업종의 성장을 이끌어내고 있다.
최근 농촌에서는 민박에 머물며 지역 음식을 즐기고 특산품을 구매하는 것이 도시와 농촌 소비자들 사이에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았다. '촌(村)BA(마을 프로농구)', '춘차오(村超·마을 축구 슈퍼리그)' 등 농촌 문화·스포츠 활동도 활발해졌다. 지난해 중국 레저농업 매출은 약 9천억 위안(179조1천억원)으로 지난 2020년보다 약 500억 위안(9조9천500억원) 증가했다.
농촌 산업은 탈빈곤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내생적 동력을 불어넣고 있다. 올해는 빈곤 퇴치 성과를 안정적으로 이어가면서 농촌 진흥과 연계하는 과도기의 마지막 해다. 과도기를 거치며 832개 탈빈곤 현이 2~3개의 특색 산업을 육성해 총생산액이 1조7천억 위안(338조3천억원)을 넘어섰다.
'14차 5개년' 기간 농민 소득도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지난해 농촌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2만3천119위안(460만원)에 달해 도시와 농촌 간 소득 격차도 줄어들었다.
오늘날 농촌은 농업 현대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감과 동시에 농촌 개혁이 꾸준히 이어져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