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국내 2위 포털 사이트 '다음(Daum)'이 카카오 품에 안긴 지 11년 만에 독립 법인으로 분사해 홀로서기에 나선다. 사명은 '에이엑스지(AXZ)'로 확정됐으며 독자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통해 침체된 포털 경쟁력을 회복하겠다는 승부수를 띄웠다.
28일 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다음 달 1일부로 포털 다음 서비스 사업권을 자회사 '에이엑스지(AXZ)'에 양도한다. AXZ는 지난 5월 다음 사업 부문을 분리해 설립한 '다음준비신설법인'의 새로운 사명이다. 2014년 카카오와 다음커뮤니케이션의 합병 이후 11년 만의 법적 분리다.
이에 따라 12월 1일부터 다음의 핵심 서비스인 검색, 뉴스, 쇼핑, 카페, 메일 등의 운영 주체는 카카오에서 AXZ로 변경된다. 국내 대표 블로그 서비스인 '티스토리' 역시 AXZ 소속으로 이관되어 운영된다. 티스토리 측은 이미 지난달 공지를 통해 운영 주체 변경을 알린 바 있다.
이번 분사는 덩치 큰 카카오 조직 내에서 의사결정이 지연되고 혁신 동력이 떨어졌던 다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카카오 관계자는 "분사를 통해 포털 사업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급변하는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실험이 가능한 유연한 환경을 만들기 위함"이라며 "빠르고 독자적인 의사결정 구조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 이관에 맞춰 개인정보 처리 방침도 변경된다. 카카오는 지난 24일 개정된 방침을 통해 개인정보 처리 대상에서 '다음'을 제외했다. 다음 탭과 고객센터에서의 정보 수집 조항도 삭제됐다.
다만 카카오와의 '데이터 끈'은 유지된다. AXZ는 이용자의 다음 통합 검색 기록, 뉴스 조회 내역, 카페 및 티스토리 활동 로그 등을 카카오에 제공한다. 카카오는 이를 바탕으로 카카오톡 내 맞춤형 추천 서비스와 광고 마케팅 고도화에 활용할 방침이다. 법인은 분리되지만 데이터 생태계 측면에서는 여전히 카카오 공동체로서 시너지를 이어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용자들이 체감할 변화도 있다. 카카오게임즈의 PC 게임 플랫폼 '다음게임'의 로그인 방식에 변화가 생긴다. 그동안 다음·카카오 통합 계정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12월부터는 운영 주체 분리에 따라 로그인 프로세스가 일부 변경될 예정이다.
네이버, 구글, 유튜브 등에 밀려 점유율 하락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다음이 'AXZ'라는 새 간판을 달고 과거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아니면 매각을 위한 수순으로 이어질지 업계의 이목이 12월 1일 출범하는 신설 법인에 쏠리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현장] 한화솔루션 수소 에너지 기술 개발 현실적으로 어려워...정부 지원 필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27/20251127170143944183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