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싱가포르 일간 스트레이츠타임스 등에 따르면, 전날 싱가포르 의회는 사기 조직 구성원과 피해자 모집책 등을 대상으로 최소 6대에서 최대 24대의 태형을 의무적으로 부과하는 법안을 가결했다. 또한 대포통장·신분증·휴대전화 유심칩 등을 제공해 사기 행위를 도운 이들도 최대 12대의 태형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심 앤 싱가포르 내무부 차관은 의회에서 “사기는 현재 싱가포르에서 가장 흔한 범죄 유형이며, 전체 범죄의 60%를 차지한다”며 법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202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약 19만 건의 사기 피해가 발생했고, 피해액은 37억 싱가포르달러(약 4조8000억원)에 달한다”며 “엄청난 수치”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이미 올해 초부터 금융기관에 대한 사기 대응 권한을 대폭 강화했다. 경찰은 사기 연루 의심 계좌의 거래를 즉시 제한할 수 있도록 조치했고, 국제 범죄조직에 대한 단속도 확대하고 있다.
싱가포르 경찰은 지난달 30일 캄보디아에서 대규모 사기 작업장을 운영해온 프린스 그룹과 그 소유주 천즈(Chen Zhi) 회장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으며, 1억5000만 싱가포르달러(약 1650억원) 규모의 관련 자산을 압류했다.
현지 언론은 이번 법안 통과로 싱가포르가 아시아 주요국 중 사기범죄에 가장 강력한 형사 처벌 체계를 갖춘 국가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 정의선·정기선 손잡다, 현대 특허무효심판 승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5/20251105100052600894_388_136.jpg)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①] 팰리세이드 전부 리콜...싼타페·아이오닉6까지 73만대 돌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160340753737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