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금융

신용보증기금 보증 장기이용기업 절반 이상 '부실 위험'

지다혜 기자 2025-10-27 08:35:27

추경호 "부실 위험기업 장기존속 뒷받침…제도 개선 必"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신용보증기금 보증을 10년 넘게 이용하는 장기 기업의 절반 이상이 부실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보증 10년 이상 장기이용기업은 4485개로 집계됐다.

이 중 우량기업은 41개(0.9%)에 불과했고, 성장성 향상기업은 1899개로 전체의 42.4%를 차지했다.

성장성 정체기업과 신용도 약화기업은 각각 1881개(41.9%)와 664개(14.8%)로 나타나며 전체의 56.7%가 잠재적인 부실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신보 장기이용기업의 보증 잔액은 2020년 2조8395억원에서 올해 8월 3조9065억원으로 37.6% 증가했다.

보증 상태별 규모는 성장성 정체기업과 신용도 약화기업의 보증잔액이 올해 각각 17.6%, 13.4% 증가하면서 부실우려 기업에 보증 자금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보증 이용 기간을 보면 20년 넘게 신보 보증을 이용한 기업이 949개(21.2%)에 달했고, 최장기 이용기업 3곳은 무려 36년 동안 보증을 받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 3곳 모두 성장성 정체 또는 신용도 약화 기업으로 분류돼 장기이용이 기업 회생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부실위험만 누적되는 구조적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신보는 컨설팅과 구조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이용기업을 관리하고 있으나, 올해 컨설팅 참여 기업은 314개로 전체의 7%에 불과했다.

사전구조개선 프로그램인 '빌드업'과 '밸류업' 지원기업도 각각 50개, 121개 수준으로 수천 개의 장기이용기업 중 일부만 관리 개선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고 있다.

추경호 의원은 "신보 보증이 일시적 자금난 해소와 성장 지원이라는 본래 취지에서 벗어나 부실 위험 기업의 장기 존속을 뒷받침하는 구조로 굳어지고 있다"며 "구조개선 프로그램이 실질적인 정상화와 자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