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국제

베트남, '세계의 공장' 넘어 'R&D 허브'로…AI·우주인터넷 격전지 되다

선재관 기자 2025-08-31 20:19:14

'하이테크 허브'로 부상…아마존·엔비디아·삼성 등 글로벌 빅테크 집결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왼쪽)와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AFP=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과거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던 베트남이 이제 동남아시아의 ‘하이테크 허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아마존과 스페이스X가 저궤도 위성 인터넷 사업의 아시아 전초기지로 베트남을 동시에 낙점했으며 엔비디아·퀄컴·삼성·LG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연구개발(R&D) 거점을 잇달아 구축하며 ‘포스트 차이나’ 시대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다.

베트남의 기술적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는 우주 인터넷 시장이다. 31일 베트남 현지 매체 VN익스프레스(VnExpress) 등에 따르면 베트남 과학기술부는 최근 아마존의 위성 인터넷 사업 ‘카이퍼(Project Kuiper)’의 현지 사업을 승인했다. 아마존은 2030년까지 5억 7000만 달러(약 7900억원)를 투자해 베트남 북부 박닌성에 지상국과 단말기 생산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타링크’가 동일한 조건으로 사업 허가를 받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온 결정이다. 세계 최대 우주 인터넷 기업 두 곳이 동시에 베트남을 아시아 시장 공략의 교두보로 삼으면서 베트남은 순식간에 아시아 위성 인터넷 산업의 핵심 지역으로 떠올랐다.

◆ 엔비디아·삼성·LG, R&D 거점 잇단 설립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분야에서도 베트남은 핵심 R&D 기지로 각광받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지난해 12월 베트남을 직접 방문해 AI 데이터센터 및 R&D 협력에 합의하며 “AI가 베트남의 성장 동력을 크게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퀄컴 역시 올해 6월 하노이와 호찌민에 AI R&D센터를 열고 생성형 AI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하노이 삼성전자 베트남 연구개발(R&D) 센터 전경. [사진=삼성전자]

한국 기업들의 움직임은 더욱 발 빠르다. 삼성전자는 2023년 2억 2000만 달러를 투자해 하노이에 3000명 규모의 대규모 R&D 센터를 완공했다. 당시 준공식에 참석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삼성 R&D 센터는 베트남의 산업 경쟁력 강화는 물론 한·베 양국 간 우호협력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전자 또한 하노이, 하이퐁, 다낭에 R&D 센터를 운영하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에서 AI 가전까지 연구 영역을 넓히고 있다.

◆ 풍부한 이공계 인재…정부의 파격 지원

글로벌 기업들이 베트남으로 몰려드는 가장 큰 이유는 풍부하고 젊은 이공계 인재풀 때문이다. 국제교육협회(IIE)의 2024년 보고서(Open Doors Report)에 따르면 미국 내 베트남 유학생은 아세안 국가 중 1위이며 이들 중 절반이 STEM(과학·기술·공학·수학)을 전공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기준 이공계 외국인 유학생 중 베트남 출신이 8221명으로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베트남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도 한몫하고 있다. 또럼 베트남 공산당 총비서는 지난 27일 중앙회의에서 “2027년까지 최소 100명의 해외 유수 전문가를 유치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며 이들에게 기존 틀을 넘는 특별 대우를 약속했다.
 
알렉스 로저스 퀄컴 글로벌 업무총괄 사장과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총비서 [사진=VNA]

알렉스 로저스 퀄컴 사장이 베트남을 방문했을 때 또럼 총비서와 직접 면담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베트남 정부가 하이테크 산업 육성에 얼마나 큰 의지를 보이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베트남의 빠른 성장은 해외 기업 및 교육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인력난을 겪는 국내 기업과 교육기관에도 베트남은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