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열린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오늘 카나나의 베타 테스트 버전을 공개한다"며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으로 업그레이드를 거친 후 공식 론칭(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번 베타 테스트에 대해 "기능이나 디자인이 완성된 버전이라기보다는 서비스 안정성을 테스트하고 이용자들이 어떤 (AI에게 내리는) 지시어나 질문을 많이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하며 점진적인 서비스 고도화를 예고했다.
'카나나'는 카카오가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공개를 예고했던 AI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이용자와의 대화에서 주요 정보를 기억하고 맥락을 파악하여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며 카카오톡과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카카오 컨콜을 통해 "올해 목표는 국내 가장 대중화된 이용자향 AI 서비스를 론칭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로 안착하는 것"이라며 카나나를 통한 AI 시장 공략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와 함께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서비스 경쟁력 강화 방안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톡은 소셜 기능과 콘텐츠 기능을 강화해 슈퍼앱으로 진화를 추진하면서 체류시간 점유율을 상승시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중 카카오톡의 세 번째 탭에 '발견 영역'을 새롭게 추가하고 이용자들의 일상 콘텐츠 공유 기능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새롭게 선보일 '발견 영역'은 최근 이용자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숏폼(짧은 동영상) 콘텐츠를 피드 형태로 제공하는 공간으로 꾸려진다. 정 대표는 "메시지를 주고받는 목적형 트래픽 외에 (콘텐츠를 소비하며 머무르는) 부유형 트래픽이 늘면서 체류시간을 포함한 인게이지먼트(이용자 참여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또한 "하반기에 공유 기능이 강화하면 기존보다 발전한 트래픽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 카카오톡은 앱에 머무르는 부유형 트래픽을 늘려 이용자 체류시간을 20%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한편 카카오는 AI 서비스 '카나나'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카카오톡의 슈퍼앱 전략을 통해 플랫폼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