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 뉴스의 언론사 입점과 퇴출 등을 심사할 새로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 2.0'의 출범이 올해 상반기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정치 일정 등이 맞물리면서 관련 논의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6일 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 서비스 자문기구인 '뉴스혁신포럼'에서 진행 중인 제평위 구성 논의가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새 위원회 운영 가이드라인은 마련됐으나 정치권과의 협의가 미뤄지면서 최종 단계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7월 3일로 예정된 대통령 선거 이후에야 본격적인 협의가 재개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난 2023년 5월 기존 제평위 활동이 잠정 중단된 점을 고려하면 위원회 공백 상태가 2년에 달하게 된다. 논의 재개 시점과 이후 절차를 감안할 때 연내 신규 언론사 입점 심사가 시작되더라도 실제 추가 입점까지 이어지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과거 네이버와 카카오는 2015년부터 독립적인 제평위를 공동 운영하며 포털 뉴스 제휴 언론사를 심사해왔다. 하지만 위원 구성의 이념 편향성 및 심사 과정의 공정성 논란이 지속되면서 결국 활동 중단에 이르렀다. 이후 카카오는 지난해 말부터 자체적인 정량 평가 기준을 도입해 신규 제휴를 시작했지만 네이버는 자체적인 새 제평위 구성을 추진하며 정치권과의 협의를 모색해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여야 정치권 모두 포털 뉴스 공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 정치권과의 합의를 바탕으로 제평위를 구성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며 "하지만 연말부터 이어진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제평위 문제가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혁신포럼은 새로운 제평위 운영 방식으로 최대 1000명 규모의 미디어 전문가 풀(Pool)을 구성하고 이 중에서 무작위 추첨을 통해 심사위원단을 꾸리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기존 제평위 위원 전원의 신상이 공개돼 로비 가능성 등 공정성 문제가 제기됐던 점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 기관 등에서 활용하는 비공개 전문가 풀단 운영 방식과 유사하다.
네이버 관계자는 "과거 제기된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문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현실적으로 대통령 선거 이후인 하반기에나 제평위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제평위 출범이 늦어지고 있지만 연내 입점 심사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제평위가 하반기에 구성되더라도 실제 평가 및 심사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면 신규 언론사의 네이버 뉴스 서비스 진입은 해를 넘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