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진흥공사(KOBC)가 지난 11일 발표한 ‘미국 상호관세에 따른 선종별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해운시장 전반에 단기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편관세 10%와 상호관세 25%가 동시에 추진될 경우 북미향 화물 수요 감소가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선종별로 보면 컨테이너선 시장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이 수입품 전반에 관세를 부과하면 북미 노선의 수출 물동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해상운임이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미국이 자국 제조업 보호를 위해 특정국가 수입품에만 선택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항로에 집중된 물동량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자동차 운반선 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자동차 및 부품에 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될 경우 한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자동차 수출국에서 미국향 선적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완성차·부품 물동량이 줄고 자동차 운반선 수익성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반면 드라이벌크선 시장은 미국의 보복 관세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미국산 대두·석탄·액화천연가스(LNG) 등에 보복 조치를 할 경우 미주-아시아 간 원자재 수출입이 감소하면서 벌크선 수요도 줄어들 수 있다. 이는 주로 아시아 항만과 연결된 드라이벌크 항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유조선 시장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분석된다. 원유·가스 등 에너지 관련 품목은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미국의 셰일가스 수출 등 기존 흐름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전체적인 무역 경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해상운임 변동성은 확대될 수 있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선사들이 선박 재배치, 감편 운항 등으로 대응할 것으로 봤다. 그러나 장기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북미 항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컨테이너선사들의 경우 장기 운송 계약 확보와 아시아·중동 등 대체 시장 다변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관세 충격은 일시적일 수 있지만, 항로 구조나 수출입 패턴 변화는 장기적으로 산업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선종별 리스크 대응 전략을 시급히 재정립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