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구글, 차세대 AI '제미나이 2.5 플래시'·7세대 TPU '아이언우드' 공개

선재관 기자 2025-04-10 09:18:59

AI 에이전트 생태계 구축 가속화… 기업 운영 방식 전환 예고

추론 성능·비용 효율성 강화… 엔비디아 의존도 탈피 시도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이코노믹데일리] 구글이 성능과 효율성을 대폭 개선한 최신 인공지능(AI) 모델과 자체 개발 AI 칩을 선보이며 기술 리더십 강화에 나섰다.

구글은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연례 클라우드 기술 컨퍼런스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에서 AI 및 클라우드 관련 신기술과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AI 최적화 플랫폼', '개방형 멀티 클라우드' 등을 핵심 주제로 AI 에이전트와 이를 뒷받침하는 인프라 기술 혁신에 초점을 맞췄다. 이날 구글은 새로운 경량 AI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실시간 요약이나 대규모 문서 탐색 등에 특화됐으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문(프롬프트)의 복잡성에 따라 추론의 깊이와 수준을 조절할 수 있어 비용과 성능 사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미나이 2.5 플래시는 현재 구글의 AI 개발 플랫폼 '버텍스 AI'와 '제미나이 앱'에서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함께 복잡한 추론과 문제 해결에 강점을 지닌 '제미나이 2.5 프로' 모델도 공식 출시됐다. 두 모델 모두 긴 문서나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컨텍스트 윈도우)이 뛰어나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제미나이 2.5 플래시를 사용하면 모델 추론의 정도를 제어하고 예산과 성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며 "우리의 목표는 최신 AI 기술을 제품과 플랫폼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AI 연산 능력의 핵심인 하드웨어 부문에서는 7세대 텐서처리장치(TPU) '아이언우드'를 공개하며 자체 AI 칩 경쟁력을 강화했다. 올해 말 출시 예정인 아이언우드는 특히 AI 모델의 추론 성능에 최적화된 칩으로 직전 모델인 6세대 '트릴리움' 대비 성능과 전력 효율성이 두 배 이상 향상됐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탑재 용량도 늘려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였다.

업계에서는 구글이 아이언우드를 통해 AI 칩 시장에서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가격 대비 성능'을 앞세워 추론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한다. 피차이 CEO는 아이언우드에 대해 "역대 가장 강력한 칩으로 차세대 AI 모델을 구현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이와 함께 구글은 전 세계 기업 고객이 자사의 방대한 사설 광케이블망을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광역 네트워크(Cloud WAN)' 서비스도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 구글은 특히 'AI 에이전트' 시대를 여는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업들이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는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쉽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에이전트 개발 키트(ADK)'를 선보였다. 또한 개발 환경이나 플랫폼이 다른 에이전트끼리도 서로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개방형 '에이전트 투 에이전트(A2A)' 프로토콜을 공개했다. 

비개발 직군 직원들도 자연어를 이용해 사내 데이터를 기반으로 업무용 에이전트를 직접 만들고 활용할 수 있는 '에이전트 스페이스' 플랫폼도 처음 소개됐다. 토마스 쿠리안 구글 클라우드 CEO는 "AI 에이전트 개발 키트는 정교한 AI 기반 에이전트 구축과 도구 사용, 추론 등 복잡한 다단계 작업을 지원한다"며 "이를 통해 다른 에이전트 기술을 배우고 에이전트끼리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개발된 AI 에이전트는 구글의 문서, 스프레드시트, 화상회의 등 '워크스페이스' 도구 전반에 통합돼 업무 생산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삼성전자가 상반기 출시할 AI 컴패니언 로봇 '볼리'에 제미나이 모델이 탑재되는 것을 비롯해 맥도날드, 세일즈포스, 도이치뱅크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사례를 통해 AI 에이전트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케이티 왓슨 구글 클라우드 제품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는 "지금은 단일 질문에 답하는 AI에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에이전트의 시대로 넘어가는 전환점"이라며 에이전트 생태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AI 에이전트 구현은 구글의 통합 AI 플랫폼 '버텍스 AI'와 이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인프라 덕분에 가능하다. 구글은 버텍스 AI를 통해 제미나이 외에도 미스트랄, 라마 등 200개 이상의 다양한 AI 모델과 오픈소스 모델을 제공하며 이미지·오디오·비디오·음악 생성 AI 모델을 통합한 '버텍스 AI 미디어 스튜디오'도 선보였다. 

캐리 타프 구글 클라우드 부사장은 "이번 발표는 AI 기술력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비즈니스 임팩트를 중시한 결과"라며 "AI가 실무에 작동되는 모든 층위를 정비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