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금융

이달 무·저해지 보험료 줄줄이 인상...최대 32.7%↑

방예준 수습기자 2025-04-10 08:58:52

금융당국 가이드라인 적용 후 해지율 내려 보험료 인상 불가피

관련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보험사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임의 설정을 막기 위해 금융당국이 이달부터 해지율 가정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서 주요 상품의 보험료가 1~30%까지 올랐다.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이달 손해보험사들이 무·저해지 보험료를 동시에 인상했다.
 
지난해 금융당국이 보험개혁회의를 통해 무·저해지 보험의 해지율 등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달 적용됨에 따라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무·저해지 보험은 납입 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이 없거나 적은 대신 보장 내용을 늘리거나 저렴한 보험료를 납입하는 상품이다.
 
당국은 새 보험회계기준(IFRS17) 도입 이후 보험사가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을 높게 설정해 실적을 부풀렸다고 판단해 예정 해지율을 줄이는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무·저해지 보험의 해지율이 낮아지면 그만큼 보장에 필요한 준비금이 커져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 적용 후 인상률은 보험사, 상품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3대 진단비, 상해·질병 수술비 등 주요 담보를 포함한 간편 심사보험 대표 상품 2종의 50~60대 남성 보험료는 보험사에 따라 △현대해상 7.8% △삼성화재 6.3% △KB손해보험 5% △DB손해보험 4.1% △메리츠화재 1%의 인상률을 보였다.
 
동일 상품의 여성 보험료는 인상률은 △DB손보 7.6% △현대해상 6.1% △삼성화재 5.1% △KB손보 4.4%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메리츠화재는 오히려 10%를 인하했다.
 
40대 남성 기준 통합보험 보험료의 경우 KB손보가 전월 대비 32.7%로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다른 보험사는 △삼성화재 16.9% △DB손보 16% △메리츠화재 7.7% △현대해상 3.4% 순이었다.
 
보험사별로 10세 기준 어린이보험 남아 보험료는 △삼성화재 27.9% △DB손보 27.7% △KB손보 25% △현대해상 16.4% △메리츠화재 4.1%, 여아 보험료는 △삼성화재 29.4% △DB손보 27.5% △KB손보 24.9% △현대해상 20.4% △메리츠화재 13.3% 순으로 인상됐다.
 
보험료 인상에 관해 업계 관계자는 "해지율을 낙관적으로 가정한 보험사일 수록 보험료 인상 부담이 커져 상품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