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0일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은 물론 국내 산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하지만 LS 일렉트릭, LS전선 등 전력·전선업계는 데이터센터 및 전력수요 급증과 맞물려 문제 없다는 분위기다.
12일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고 있는 '일렉스 코리아 2025'에서 "유명 데이터센터 기업들이 LS일렉트릭 청주공장을 찾고 있다"며 "올해 내에 미국 내 데이터센터 수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LS일렉트릭이 조만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된다. LS일렉트릭은 이미 지난 1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xAI'에 데이터센터용 배전반을 납품하기로 협의했다.
구 회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오히려 우리 전력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국내외 데이터센터 및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반적인 시장 규모가 증가할 뿐더러 관세로 인한 반사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상호관세에 따라 주력 제품인 변압기 등에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전체 전력 기업을 대상으로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커 경쟁력에서 밀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날 그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내에 공장을 짓는 업체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이는 전력 수요 증가로 이어져 자사 주력 제품인 초고압 변압기, 배전반,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미국에서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S전선 등 전선업계도 마찬지다.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에도 관세를 추가 발효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전선업계의 호재로 인식된다.
전선업체는 일반적으로 수주 시 판매 가격에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반영하는 '에스컬레이션 조항'을 포함하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수주잔고 가치가 올라가고 매출이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구리와 알루미늄 등은 단기간에 공급을 늘리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조만간 중장기적으로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슈퍼 사이클'이 찾아올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 따르면 우리 전선 기업들도 미국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 LS전선은 지난해 미국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 대규모 수주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8.2%늘어난 2747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또한 전력업계 성장에 따라 전선 기업들이 함께 수혜를 보는 부분도 늘어날 전망이다. LS일렉트릭이 올해 일렉스 코리아 2025에서 공개한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시스템 '하이퍼그리드NX'는 LS일렉트릭의 초전도 한류기에 LS전선의 초전도 케이블 기술을 결합해 개발했다.
전문가들은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거라고 관측하면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관련 시장이 당분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윤성로 서울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는 "AI를 연구·개발하는데 필요한 작은 GPU칩 하나도 에어컨 이상의 전력을 소모한다"며 "앞으로도 데이터센터 수요에 따라 전력 소모량은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