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신화통신) '2025년 외자 안정화 행동방안'(이하 행동방안)이 10일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통과됐다.
회의에서는 외자 기업이 ▷고용 흡수 ▷수출 안정화 ▷산업 업그레이드 촉진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실질적인 존량(存量) 및 증량(增量)정책을 더 많이 출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중국 실제 외자 사용액은 전년 대비 27.1% 하락한 8천262억5천만 위안(약 163조5천975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신규 설립 외자 기업 수는 9.9% 증가한 5만9천80개에 달했다.
자오푸쥔(趙福軍) 국무원발전연구센터 대외경제연구부 종합연구실 주임은 이번 행동방안은 중국이 외자 안정화를 위한 여러 조치를 내놓을 것을 예고하는 명백한 신호라고 말했다.
회의에서는 개방을 체계적으로 확대하고 관련 분야의 개방 시범사업을 심화할 것을 제시했다. 또한 제조업 분야의 외자 진입 제한 전면 철폐 조치를 실행하고 국가 서비스업 개방 확대 종합시범사업을 최적화하여 외국인 투자의 산업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자오 주임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조치가 외자유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부가가치 통신, 의료 등 분야에서 개방 조치를 출범·확대하고 제조업 분야 외자 진입 제한 조치를 전면 폐지했다. 또 전국 범위의 외자 진입 제한 조치를 31개에서 29개로 축소했다.
회의에서는 '투자 중국' 브랜드를 꾸준히 구축해 나가면서 외자 기업의 역내 재투자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해외자본의 중국 내 지분 투자를 장려하며 외자 인수합병 규칙 및 절차를 최적화해야 한다고 짚었다.
한편 회의에서는 정부 조달 등 업무에서 국내외 기업을 동등하게 대우하고 외자 기업의 융자 채널을 확대하며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출입국, 거류증 등과 관련해 외국기업의 인력 이동에 더 많은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