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산업

경남까지 날아간 오물풍선···'안티드론 시스템'이 해법

유환 기자 2024-06-07 18:01:18

최근 북한에서 오물풍선 대량으로 살포

탐지·식별 쉽지 않고 타격 수단 애매

안티드론 합리적 방어수단으로 각광

29일 경남 거창군 위천면에서 발견된 북한의 오물풍선 추정 물체[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지난달 28일과 이달 1일 북한에서 오물이 담긴 풍선을 수백개를 남쪽으로 살포했다. 일부 풍선은 경남 지역까지 날아가며 전국에 걸쳐 안보 불안감이 높아졌다.

군사 전문가들이 7일 오물풍선에 대해 '안티드론 시스템'이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조언을 내놨다.

최근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은 2022년 12월 발생했던 무인기 도발과 닮은 구석이 많다. 기존 대공 레이더를 통해 탐지하더라도 식별이 어려운 것과 마땅한 타격 수단이 없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무인기나 풍선은 국군이 보유한 레이더의 성능으로 탐지할 수 있지만, 레이더로 탐지하더라도 식별이 어렵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크기가 전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레이더상으론 새 떼인지 풍선이나 드론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설령 식별에 성공하더라도 타격할 수 있는 수단이 제한적이다. 전투기는 속도 차이가 커 상공에서 격추가 쉽지 않고 대공 미사일은 한 발당 가격이 수십억원에서수백억원에 이른다. 수십만~수백만원 수준의 풍선, 무인기를 상대로 사용하기엔 비효율적이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선 안티드론 시스템이 합리적 방어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안티드론 시스템은 무인기에 대적하기 위한 탐지·식별, 무력화 방법 등을 총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대상을 탐지·식별한 후엔 물리적으로 파괴하는 하드킬(Hard Kill)과 간접적으로 무력화하는 소프트킬(Soft Kill)이 쓰인다.

탐지·식별을 위해서는 기존 레이더와 더불어 광학 카메라 보강이 필요하다. 광학 카메라는 드론을 직접 촬영하거나 적외선으로 모터에서 나오는 열원을 탐지해 대상물을 식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음향 센서로 드론의 엔진음을 탐지하는 방법이나 일정 범위 내 드론의 식별 번호(PIN)를 파악하는 방식 등도 거론된다.

대상을 파악한 후엔 경우에 따라 하드킬이나 소프트킬 방식이 쓰인다. 하드킬은 그물이나 맹금류를 이용해 공중에서 떨어뜨리는 방식부터 대공포 사격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다.

최근 주목받는 건 레이저 하드킬 방식이다. 발사할 때 전기만 사용하기 때문에 한 발당 비용이 1000~2000원 내외로 저렴하고 오발탄이 민가에 떨어질 우려도 없다. 실제로 지난 2020년 미국 해군이 실험을 통해 전함에 장착된 150킬로와트(㎾)급 레이저로 해상 무인기를 격추한 사례가 있다.

국내에서도 레이저 무기를 전력화하는 중이다. '블록-1'이란 이름으로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에서 공동 개발 중이며 올해 하반기 중 실전 배치될 전망이다. 양산 제품은 컨테이너 형태의 고정식 포대로 20㎾급 출력에 3㎞ 밖 물체를 타격할 수 있다. 2030년까지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30㎾급 '블록-2'가 개발될 예정이다.

소프트킬엔 전파 방패나 위성항법 장치(GPS) 교란 등이 있다. 외부와 통신을 차단해 경로를 비틀거나 추락시키는 방법이다. 도심지에 나타난 무인기에 대해 민간 시설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무력화할 수 있다. 다만 북한에서 보낸 오물풍선이나 무인기의 경우 제대로 된 통신 장비를 갖추지 않아 효과가 반감될 것이란 예측도 있다.

전문가는 안티드론 시스템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도 방어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했다.
최기일 상지대학교 군사학과 교수는 "2022년 드론 도발에 이어 오물풍선까지 북한의 도발 수단이 다양해지고 있어 우리의 방어 시스템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러나 대량의 풍선, 무인기 공격에 대해서 완벽한 방어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북한의 도발이 내부 혼란을 만들지 않도록 안보 태세를 확립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