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에 따른 ESG 채권이 중국과 신흥 시장에 빠른 속도로 유입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유럽연합(EU)의 에너지 위기가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넷제로(탄소중립) 정책을 후퇴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 등 외신은 최근 잇따라 EU 회원국의 기후 위기를 조명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와 EU 간 관계가 악화되면서 석탄 소비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EU는 우크라이나 침략에 대한 책임 등을 이유로 지난 4월 러시아산 화석 연료에 대한 제재를 가했고 오는 8월 10일부터는 추가 수입을 금지하기로 했다.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대안을 찾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문제는 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수십년 만에 최악의 에너지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화석 연료의 사용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오스트리아와 네덜란드 등 많은 국가가 화력 발전소를 재가동하거나 기존 생산량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의회에서도 원자력 발전소 사용 연장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DPA 등 현지 언론은 전하고 있다.
사실상 화석 연료를 가장 멀리해야 하는 정책인데, 러시아발 위기로 EU의 기후변화 대응에 변화가 생기는 게 아니냐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에너지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탄소 저감 정책을 유지하는 대신 저감 기준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서다.
그렇지 않아도 글로벌 ESG 평가 기관의 평가 기준이 제각각인데 EU의 에너지 정책이 변화할 경우 평가 요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로이터통신 등은 현지 전문가들을 인용해 "유럽의 주요 투자자들은 일단 2050년 넷제로 목표를 투자 기준으로 보겠다는 기존 원칙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그린본드를 발행하는 등 환경 관련 점수를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거나 ESG의 S와 G에 집중함으로써 평가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유럽연합(EU)의 에너지 위기가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넷제로(탄소중립) 정책을 후퇴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 등 외신은 최근 잇따라 EU 회원국의 기후 위기를 조명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와 EU 간 관계가 악화되면서 석탄 소비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EU는 우크라이나 침략에 대한 책임 등을 이유로 지난 4월 러시아산 화석 연료에 대한 제재를 가했고 오는 8월 10일부터는 추가 수입을 금지하기로 했다.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대안을 찾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문제는 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수십년 만에 최악의 에너지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화석 연료의 사용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오스트리아와 네덜란드 등 많은 국가가 화력 발전소를 재가동하거나 기존 생산량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의회에서도 원자력 발전소 사용 연장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고 DPA 등 현지 언론은 전하고 있다.
그동안 EU는 글로벌 탄소 중립 기준을 주도해왔다.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골자로 탄소감축 입법안을 만들고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기업 등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런 목표는 웬만한 기업이 추구하는 ESG 정책 중 'E' 항목의 실천 기준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사실상 화석 연료를 가장 멀리해야 하는 정책인데, 러시아발 위기로 EU의 기후변화 대응에 변화가 생기는 게 아니냐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에너지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탄소 저감 정책을 유지하는 대신 저감 기준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서다.
그렇지 않아도 글로벌 ESG 평가 기관의 평가 기준이 제각각인데 EU의 에너지 정책이 변화할 경우 평가 요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로이터통신 등은 현지 전문가들을 인용해 "유럽의 주요 투자자들은 일단 2050년 넷제로 목표를 투자 기준으로 보겠다는 기존 원칙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그린본드를 발행하는 등 환경 관련 점수를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거나 ESG의 S와 G에 집중함으로써 평가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