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금융

[종합] 초유의 빅스텝…한은 기준금리 1.75%→2.25%

신병근 기자 2022-07-13 10:21:14

사상 첫 3차례 연속, 한 번에 0.50%P 인상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연합]

[이코노믹데일리] 한국은행이 13일 정책(기준)금리를 기존 1.75%에서 2.25%로 끌어올렸다. 대한민국 기준금리 결정 역사상 최초로 한 번에 0.50%포인트 인상하는 이른바 '빅스텝'을 단행한 것으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3차례 연속 금리를 올린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권에서는 빅스텝 배경을 두고 현재 6%대로 치솟은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 4%에 임박한 기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율 등 물가를 잡기 위한 통화당국의 자구책이라는 해석이 주를 이룬다. 

무엇보다 이미 미국 정책금리 상단과 한국 간 동률을 이룬 상황에서 이달 말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에서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한·미 금리 역전현상이 기정사실화 된 상태다. 
 
이로써 한은 금통위는 최근 3차례, 즉 4~5월 0.25%포인트씩 올린 것에 이어 이날 0.50%포인트 인상까지 잇달아 인상을 결의했다. 앞서 작년 8월과 11월 인상까지 포함하면 약 10개월 사이 0.25%포인트씩 다섯 차례, 0.50%포인트 한 차례 등 모두 1.75%포인트를 올렸다.

금통위가 이례적으로 빅스텝을 단행한 명분으로 업계는 심각 수준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지목한다. 특히 가장 최근 데이터인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0% 뛴 상태다. 

외환위기를 맞아 국제통화기금(IMF) 원조를 받은 1998년 11월 당시 소비자물가상승률 6.8%를 기록한 이후 23년 7개월 만인 현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일반 소비자)도 지난달 3.3%에서 3.9%로 올랐다. 2008년 이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대폭에 해당하는 0.6%포인트 상승세를 보였다.

업계의 관심은 또 한미 간 금리 역전에 쏠리고 있다. 한은발 빅스텝으로 동률을 이뤘던 양국 간 기준금리는 일단 0.50~0.75%포인트까지 벌렸다. 문제는 이달 26~27일 열리는 미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지난달에 이어 연속으로 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미 연준은 지난달 14~15일 FOMC 회의에서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바 있다. 또 다시 자이언트 스텝이 단행된다면 양국 간 기준금리 역전이 벌어지고, 이는 곧 더 높은 수익률을 좇는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이 빠져나가는 악순환이 일어날 우려가 크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한은이 급한 불을 끈나고 빅스텝을 밟았지만 미 연준에서는 이미 추가 자이언트 스텝을 시사했다"며 "미국 기준금리가 결국 0.00~0.25%포인트 높아지는 역전을 여전히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시장에서 외국인 자본 유출이 가속화할 경우 달러당 원화값 하락은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더욱이 외환보육액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빠르게 줄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6월 기준 국내 외환보유액은 4382억8000만달러로 전월 대비 94억달러가량 급락했다. 2008년 11월 빠져나간 117억5000만달러 규모 이후 13년7개월 만에 최대 감소한 폭으로 기록됐다. 

추가 빅스텝에 관한 관측은 시기 상조라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한 차례 빅 스텝을 단행했지만 소비 위축과 경기 타격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통화당국의 부담도 가중될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빅 스텝은 물가 하나만 보고 결정하는 게 아니"라며 "물가가 올랐을 때 우리 경기나 환율에 미치는 영향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더구나 우리나라의 경우 변동금리부 채권이 많기 때문에, 가계 이자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금통위원들과 적절한 조합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