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고객이 금리를 깎아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금리인하 요구권'이 주목받고 있지만, 정작 은행별 수용률(수용건수/신청건수)은 최대 50% 포인트까지 격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마다 제시하는 수용 기준이 제각각인 탓에 고객 부담을 덜어준다는 은행권 내 기치가 헛구호에 그친다는 지적이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지난해 1~10월 금리인하 요구권을 신청해 혜택을 받은 고객은 2만9118명에 달한다. 해당 제도는 대출 이후 신용이 개선된 고객들의 이자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취지로 실행됐다.
혜택자 수를 기준으로 보면 농협은행이 933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 7063명, 국민 5912명, 우리 477명, 하나 1932명 순을 기록했다. 이로써 아낀 이자액은 모두 256억원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은행마다 수용률을 계산하는 방법이 제각각으로 달라 혜택을 받는 고객 비율도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5대 은행 수용률 중 농협은행이 96.4%로 돋보였고 뒤를 이어 우리 72.7%, 하나 53.2%, 국민 46.7%, 신한 43.2% 등의 순이다. 농협, 우리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은행의 수용률은 절반 수준이거나 그 이하에 그친 것이다.
들쑥날쑥한 금리인하 요구권 운영 기준에 따라 고객들도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신용이 개선돼 대출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은행 창구를 찾았지만, 상당수 은행에서 2명 중 1명 꼴로 거절을 당하는 셈이다.
하나은행 역시 신청자들 중 서류 접수까지 완료한 사람을 기준으로 신청 건수를 잡았다. 우리은행은 신청자들 중 신청 대상이 아닌 사람과 신청 후 철회·취소한 사람을 뺀 뒤 신청 건수를 산정했다.
이 같은 문제가 지적되자 금융당국은 최근 은행연합회를 비롯 18개 국내 은행들과 금리인하 요구권 운영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현재 업계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안을 마련 중으로, 신용이 개선된 고객들에게 금리인하 요구권을 홍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지난해 1~10월 금리인하 요구권을 신청해 혜택을 받은 고객은 2만9118명에 달한다. 해당 제도는 대출 이후 신용이 개선된 고객들의 이자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취지로 실행됐다.
혜택자 수를 기준으로 보면 농협은행이 933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 7063명, 국민 5912명, 우리 477명, 하나 1932명 순을 기록했다. 이로써 아낀 이자액은 모두 256억원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은행마다 수용률을 계산하는 방법이 제각각으로 달라 혜택을 받는 고객 비율도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5대 은행 수용률 중 농협은행이 96.4%로 돋보였고 뒤를 이어 우리 72.7%, 하나 53.2%, 국민 46.7%, 신한 43.2% 등의 순이다. 농협, 우리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은행의 수용률은 절반 수준이거나 그 이하에 그친 것이다.
들쑥날쑥한 금리인하 요구권 운영 기준에 따라 고객들도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신용이 개선돼 대출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은행 창구를 찾았지만, 상당수 은행에서 2명 중 1명 꼴로 거절을 당하는 셈이다.
윤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해 보면, 수용률이 저조한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의 경우 그간 신청 건수를 금리인하 요구권 신청자 모두에게 적용해 왔다. 반면 농협은행은 신청자 중 신청 대상이 아닌 사람을 우선적으로 가린 것으로 조사됐다.
하나은행 역시 신청자들 중 서류 접수까지 완료한 사람을 기준으로 신청 건수를 잡았다. 우리은행은 신청자들 중 신청 대상이 아닌 사람과 신청 후 철회·취소한 사람을 뺀 뒤 신청 건수를 산정했다.
이 같은 문제가 지적되자 금융당국은 최근 은행연합회를 비롯 18개 국내 은행들과 금리인하 요구권 운영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현재 업계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안을 마련 중으로, 신용이 개선된 고객들에게 금리인하 요구권을 홍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수용 기준을 정비해 공시 방안을 마련하고, 업계 의견을 청취해 올해 상반기 중 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