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IIF는 이날 보고서를 발표하고 "지난해 제조업 분야의 재고 조정이 거의 끝나간다고 보고 리세션은 없을 것으로 확신했으나 코로나19가 상황을 크게 변화시켰다"며 전망치 수정 이류를 설명했다.
주요 지역별로는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0%에서 1.3%로 낮췄고 중국은 5.9%에서 4.0%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중국의 1분기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1% 축소되겠지만 이후에는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IIF는 "독일 경제는 이미 자동차 부문의 구조적 도전에 어려움을 겪어왔고, 일본 경제 역시 소비세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점과 신흥시장이 성장 부진에 시달려왔다"며 "다만 연준의 금리 인하로 멕시코와 남아프리카 등과 같은 나라들은 통화 약세 부담 없이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영국의 경제 분석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이날 보고서를 내고 올해 미국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7%에서 1.3%로 낮췄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코로나19의 빠른 확산이 극심한 금융시장 변동성을 유발하고 경기침체 공포를 키우고 있다"며 "미국 경제가 올해 경기침체에 진입할 가능성을 종전 25%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다경의 전자사전] 스마트폰 두뇌 대결...스냅드래곤 vs 엑시노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33544352736_388_136.jpg)
![[정보운의 강철부대] 제주항, 57년 만에 다시 닻 올리다…중국 칭다오 향하는 오션로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130342760176_388_136.jpg)
![[김아령의 주말 장바구니] 가을 제철특가 한판승부…마트업계 할인 경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24/20251024092006572914_388_13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