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美 관세정책에 환율 변동성 2년 5개월 만에 '최대치'

지다혜 기자 2025-05-04 11:54:34
원·달러 환율 일평균 9.7원 변동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지난달 원·달러 환율이 미국 관세정책에 휘둘려 급등락하면서 하루 평균 변동성이 2년 5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중 원·달러 환율의 평균 변동 폭과 변동률(전일 대비·주간 거래 기준)은 각각 9.7원, 0.67%로 집계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 기대로 환율이 급등락했던 지난 2022년 11월(12.3원·0.9%) 이후 변동성이 가장 컸다. 3월(4.3원·0.29%)과 비교해도 2배 이상인 규모다.

환율은 미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난달 9일 주간 거래에서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487.6원까지 뛰었다.

그러나 이틀 뒤인 11일 야간 거래에선 1420.0원으로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효 13시간여만에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는 90일 유예한다고 밝힌 영향이다.

이후 미국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와 관세 협상을 시작하자 환율은 1410∼1440원대에서 등락했다.

지난 2일엔 미·중 통상 협상 진전 기대에 비상계엄 사태 이후 최저 수준인 1405.3원으로 주간 거래를 마쳤으며, 야간 거래 중 1391.5원까지 하락했다. 장 중 저가 기준으로 계엄 전인 지난해 11월 29일(저가 1390.2원) 이후 가장 낮았다.

전문가들은 환율이 당분간 1400원 선에서 등락하고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중 통상 협상 진전으로 환율이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환율을 다시 끌어올릴 요인으로는 관세 협상 불확실성, 국내 경기 부진, 정국 불안 등이 지목된다.

박형중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환율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며 "상호관세 협상이 기한 내 잘 타결되지 않는다면 환율이 다시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낙원 NH농협은행 FX파생전문위원은 "5월에도 변동성이 큰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며 "미·중 관세전쟁과 관련해 불확실성은 여전하고 달러인덱스, 미 국채 금리, 위안화 등 원화와 상관관계가 큰 지표도 등락이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상반기 환율 범위로 1380∼1475원, 하반기 환율 범위로 1350∼1440원을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