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의 '톈궁 울트라'가 2시간40분42초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사람의 달리기와 비교해 어색한 부분은 있었지만 톈궁은 하프마라톤 완주에 성공했다.
이번 마라톤 대회서도 확인했 듯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의 성장세는 가파르다.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산업 및 임베디드 인공지능(AI) 포럼'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규모는 27억 위안으로 2029년에는 750억 위안을 돌파해 전 세계 32.7%의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 2035년에는 3000억 위안 규모로 확대돼 세계 최대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이 빠른 성장을 기록할 수 있던 이유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있다. 중국은 2023년 이후 구체적인 로봇 관련 정책을 마련했다. 공업정보화부는 2023년 11월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발전 지도의견'을 발표하고 2025년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시스템 구축, 2027년 종합 실력 선진국 수준 도달 등 산업생태계 조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제품개발 및 테스트 실험실, 산업조직 및 개방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세계 표준 정립을 위해 적극 대응하는 등 글로벌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지난해 1월에는 '미래산업 혁신발전 촉진 실시의견'을 발표하면서 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선도 실현 목표를 다시 한번 확고히 했다.
정부의 지원 하에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 한국 기업들도 힘쓰고 있다.
가장 최근 로봇 산업관련 행보를 보인 건 SK그룹이다. SK그룹은 지난 1일 계열사인 SK온을 통해 산업용 로봇 기업 유일로보틱스의 지분 23%를 확보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체결했다.
또 삼성전자는 2023년 로봇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콜옵션 계약을 체결한 뒤 같은 해 말 2675억원을 투입해 지분 35.2%를 확보하고 최대주주에 올랐다.
현대자동차도 마찬가지다. 현대차는 2020년 미국의 보스턴다이내믹스를 11억 달러(약 1조3600억원)에 인수했다. 실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에 로봇을 도입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에는 약 200대의 자율이동로봇(AMR)과 사족보행 로봇 '스팟'이 배치돼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