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주에 위치한 GM과의 세 번째 합작법인(JV) 얼티엄셀즈 3공장과 관련한 건물 등 자산 일체를 인수하기로 했다. 해당 시설의 지난 1월 말 기준 장부가액은 약 3조561억원이며 JV라는 점은 감안하면 이번 LG엔솔의 실투자금액은 절반 정도다.
LG엔솔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3공장 인수 결정은 다양한 고객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공장을 증설하는 것보다 기존 공장을 인수하는 것이 비용이나 시간 등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특히 GM과의 JV는 GM에만 공급이 가능하지만 단독공장으로 전환되면 다양한 고객사에 공급이 가능하며 추후 에너지저장장치(ESS)라인 등으로 전환도 용이하다.
LG엔솔은 최근 ESS 관련 대형 수주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EV라인을 유동적으로 조절해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LG엔솔은 지난달 24일과 25일 각각 PGE,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1GWh, 4GWh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폴란드 브로츠와프 단독 공장 EV라인을 현재 ESS용으로 다수 전환한 상태다.
이처럼 LG엔솔은 EV 수요 부진으로 인해 배터리 공장 리밸런싱을 이어가고 있으며 ESS 등 기수주 물량을 소화하기 위해 생산시설 효율화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3공장의 경우 아직 ESS전환 등 세부적인 활용 계획은 구체화되지 않았다.
SK그룹도 이 같은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SK그룹은 지난해부터 저수익 사업을 매각하고 계열사 합병을 진행하는 등 강도 높은 리밸런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SK이노베이션과 도시가스 부문 SK E&S의 합병이 진행됐으며 지난해 11월 SK온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합병에 이어 지난 2월에는 사업용 탱크 터미널 운영 회사인 SK엔텀과 SK온의 합병도 완료됐다.
이러한 행보는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이차전지 업체 SK온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에너지 밸류체인을 마련해 배터리 사업에 힘을 실어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지난해 약 80조원이었던 SK이노베이션의 자산은 합병 이후 약 100조원 규모로 확대됐으며 상각전 영업이익(EBITDA)도 1조9000억원에서 5조8000억원 규모로 높아졌다. 또한 지난 4분기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SK E&S의 지난해 영업이익 1조 1157억원 중 11~12월 영업이익인 1234억원이 4분기 실적에 반영되면서 SK이노베이션은 매출 19조4057억원, 영업이익 1599억원을 기록하며 흑자로 전환했다.
SK온도 같은 해 기준 매출 62조원, 자산 40조원의 회사가 됐다. SK온과 합병한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과 SK엔텀의 지난 2023년 기준 매출이 48조9630억원·2576억원이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합병을 통해 모회사 및 SK온의 재무구조 개선은 물론 사업 외형도 확대되면서 적자를 누적해오던 SK온의 배터리 사업 역량에는 여유가 생길 전망이다.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SK온이 이번 합병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은 물론 사업 역량에도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며 "배터리 원소재 구매 비용 절감과 함께 리스크 관리 등 시장 위험 요소 대응 역량도 높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