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국내 자동차 산업 일자리까지 위협하는 트럼프 2기 관세 폭풍

박연수 기자 2025-02-12 13:06:01
자동차 상호관세 부여시 자동차 부품도 함께 부여 가능 국내 생산 감소에 일자리 위협 우려도 제기
서명한 행정명령 펼쳐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사진=EPA·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우리나라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도 검토하겠다고 예고하며 자동차, 자동차 부품 기업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관세 부과 검토 대상으로 자동차를 언급했다. 우리는 현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근거해  관세 없이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액 200 달러 이상 품목을 기준으로 자동차(49.1%)와 자동차 부품(36.5%)이 가장 높은 대미 수출액을 기록했다. 이에 관세 부과시 산업계뿐 아니라 국내 경제에도 큰 타격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관세가 부활하면 원가 상승으로 한국 완성차 업체의 영업이익은 급감할 수 있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 글로벌은 지난해 11월 "미국의 관세 20% 부과 시 현대차·기아는 최대 19%의 영업이익 감소 리스크가 있다"고 전망했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미국 현지 공장 설립 생산 증대로 관세 장벽 피해를 줄일 것으로 예상됐지만, 그간 무관세로 조달하던 한국산 철강에 25%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미국 현지 생산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현대차그룹은 한국에서 생산된 철강과 알루미늄을 미국으로 들여와 북미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데, 철강·알루미늄 가격이 오르면 이를 부품으로 사용하는 완성차의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생산 물량 80% 이상을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GM에게 관세는 더 큰 위협이다. 지난해 한국GM의 미국 수출 물량은 41만8782대로 전체 생산량(49만9559대)의 83.8%에 달했다. 이에 따라 관세 부과시 기업 생존 자체에 위험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자동차와 함께 높은 대미 무역 수지 흑자를 기록하던 자동차 부품 업계도 파고를 맞았다. 미국 내 고용 창출을 강조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기조를 고려하면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함께 부여될 것으로 분석되면서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보통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관세가 함께 부여된다"며 "아울러 현대차그룹이 미국 내 생산을 늘릴 경우, 국내에 입지한 자동차부품 기업들의 매출은 급락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무역수지뿐 아니라 일자리 등 경제계 다른 영역에까지 부정적 영향이 미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부품사들은 일차적으로 높아진 관세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 관세를 피해 미국 시장으로 이동한 자동차 기업들의 국내 생산 감소로 인해 부품 판매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자동차 부품사들의 생존과 함께 일자리 축소가 우려되는 이유다.  

이에 국내 수출 경제 버팀목 중 하나인 자동차·자동차 부품 산업의 경쟁력을 잃지 않기 위한 '딜'이 중요해진 순간이다. 이 전 원장은 "한국의 현지 생산 규모와 미국 제조업 노동자 부족 등 요인을 바탕으로 트럼프 2기 관세 파고를 헤쳐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