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한국, 보편관세에 운명 갈린다

임효진 기자 2025-02-10 15:35:21
보편관세 도입 시 한국 대미 수출 7.9% 감소 전망 자동차·배터리·반도체 등 핵심 산업 직격탄 우려
중국 광둥성 선전시에 위치한 얀티안 항구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캐나다·멕시코를 대상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전 세계를 대상으로 보편관세 10%를 부과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글로벌 무역 환경이 불확실해지고 있다. 한국의 대미 수출도 이번 조치에 따른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는 10일 발표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특정국 관세만 부과되는 경우 한국의 수출 감소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에 대한 10% 관세 인상만 적용되면 한국의 총 수출은 0.1%(4억1000만 달러) 감소하는 데 그친다. 

특히 보고서는 중국·멕시코의 대미 수출이 줄어들 경우 한국이 반사이익을 일부 누릴 것으로 예상했다. 캐나다·멕시코에 25%의 관세가 추가되더라도 총 수출 감소폭은 0.03%(2억2000만 달러)로 제한적이다. 반면 캐나다·멕시코 포함 시 한국의 대미 수출은 1.5%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미국이 전 세계에 10% 보편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수출에 미치는 충격은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이 경우 한국의 총 수출은 132억4000만 달러(19조2165억원) 감소하며 대미 수출 감소율은 7.9%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동차, 배터리, 반도체, 가전 등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주요 산업 중 자동차(14.3%), 전기·전자제품(11.9%), 철강(8.7%) 등의 대미 수출 감소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도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 정부는 10일부터 원유·농기계·석탄·액화천연가스(LNG) 등의 대미 수입품에 10~15%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첨단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텅스텐·몰리브덴 등의 수출을 통제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다시 격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은 다음달까지 기존 무역 협정, 환율 정책 등을 평가한 후 보편관세 도입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대미 무역 외교를 강화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보편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이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사전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