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 2분기 기준 고정이하여신은 12조3930억원으로 집계됐다. 총여신(2002조4354억원) 대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2%로, 지난 2019년 1분기(0.63%)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5대 금융 중 KB금융과 신한금융이 0.68%로 가장 높았다. KB금융의 경우 지난 2018년 1분기(0.70%), 신한금융의 경우 2017년 2분기(0.72% 이후 최고 수준이다.
농협금융은 0.59%로 지난 2020년 1분기 0.60%를 기록했던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은 0.56%로, 하나금융은 지난 2019년 2분기(0.56%), 우리금융은 2019년 1분기 지주사 출범 이후 최대치다.
2분기 고정이하여신이 급등한 것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른 재평가, 책임준공형 관리형(책준형) 사업장 재분류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로 세분화하면서 금융사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강화해 부동산 PF 사업장을 재평가했다.
5대 금융지주는 2분기 부동산 PF 관련해 추가 충당금을 적립했다. 신한금융은 부동산 PF에 대한 개별 사업성 평가로 2714억원 추가충당금을 적립했고, 우리금융은 약 800억원 충당금을 쌓았다. KB금융은 2분기 부동산 신탁 부문 충당금을 800억원, 하나금융도 PF 충당금으로 408억원을 적립했다.
금융사들은 실적 발표에서 NPL이 증가한 이유로 부동산 PF 구조조정에 따른 결과라 언급했다. 박장근 우리금융 최고리스크담당자(CRO)는 컨퍼런스콜에서 "NPL이 증가한 것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책준형 사업장 분류, 고금리 지속에 따른 연체 증가 등이 주요인"이라며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와 관련해 1800억원 정도가 재분류됐고, 책준형 사업장 쪽도 440억 정도가 NPL 쪽으로 분류됐다"고 설명했다.
최철수 KB금융 CRO도 "올해 2분기 건전성 분류 기준을 좀 더 빡빡하게 적용했다"며 "상환 능력이 있는 차주와 부동산 PF에서도 상황이 안 좋은 사업장을 일부 NPL로 전입하고 부동산신탁에서 책임준공형 관리형 사업장에 추가적인 신탁 계정대가 나가는 것도 전부 NPL로 분류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