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육아·출산 지원 불붙은 백화점 3사…주요 복지책 살펴보니

김아령 기자 2024-07-11 06:00:00
한 산부인과 병원의 신생아실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백화점업계가 저출생 위기 극복과 육아 환경 제고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자처했다. 내수가 기반인 백화점은 저출생으로 인한 소비수요 감소 시 직격탄을 맞을 대표적인 업종 중 하나로 꼽히기 때문에 출산 장려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주요 백화점 3사는 비슷하면서 각기 다른 육아 복지책으로 워킹맘, 워킹대디 임직원 지원에 나섰다. 이들의 의견을 수렴해 복지 제도를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현금성 지원 확대뿐 아니라 가사도우미 지원, 남성 직원 육아휴직 의무화, 입양 휴직 제도까지 다양하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사내 복지제도인 ‘일가정 제도’를 확대하며 출산 축하금을 크게 늘렸다. 첫째 축하금은 2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둘째는 30만원에서 500만원, 셋째는 1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올렸다. 또 임신한 여성 직원에게 엽산·종합비타민·마사지 오일 등 축하 선물도 제공한다.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남녀 직원을 위해 난임 시술비 지원 대상도 확대한다. 당초 7년 이상 근속한 직원에게 회당 100만원씩 최대 3회 지급했지만, 근속 연수와 횟수에 제한을 없앴다.
 
남성 직원에 대한 복지 혜택도 크게 늘렸다. 임신한 배우자의 검진에 동행할 수 있는 유급휴가 제도를 신설했다. 기존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여성 직원만 쓸 수 있던 가사도우미 지원 제도를 남성 직원까지 확대했다.
 
남성 직원 육아 휴직 시 최초 3개월간 통상임금 전액을 보전하고, 만 4~8세 자녀를 양육 중인 직원이 최대 한 달간 하루 2시간 단축 근무를 할 수 있는 ‘아빠왔다’ 제도는 이미 운영 중이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2017년 임신 기간 2시간 유급 단축 근무제를 백화점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임신 직원을 대상으로 월 10만원의 교통비도 지급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국내 대기업 최초 ‘입양 휴직’ 제도를 도입했다. 입양 절차를 밟는 임직원이 법원의 공식 입양 허가 전 아이 돌봄을 희망하면 6개월간 무급으로 휴직할 수 있는 제도다. 휴직 기간이 6개월 넘게 필요한 직원은 회사와 협의해 1개월 단위로 연장할 수 있다.
 
이 제도는 올해 초 입양 절차를 밟게 된 신세계백화점 지점의 한 직원이 휴직을 신청하면서 도입됐다. 휴직 기간을 늘려야 하는 경우 회사와 협의해 1개월 단위로 연장할 수 있다. 휴직이 끝나도 불이익 없도록 본인이 희망하는 부서에 우선 배치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출산을 앞둔 직원에게 50만원 상당의 육아용품이 들어있는 ‘SSG 마더박스’를 제공하고 있다. 임신 기간에 걸쳐 줄곧 근로시간을 하루 5시간으로 단축 운영하고, 최장 3년 동안 육아 휴직을 보장한다. 난임 여성 휴직제와 자녀 입학 돌봄 휴직 제도도 시행 중이다.
 
2012년 대기업 최초 여성 자동 육아휴직제도를 도입한 롯데백화점은 2017년 남성 의무 육아휴직제도 시행했다. 남성 직원은 배우자가 출산한 후 한 달 내로 최소 1개월 이상의 육아 휴직을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출산장려금도 지원한다. 올해부터 첫째 출산 시 지원하던 출산 축하금을 1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했다. 셋째 출산 시 카니발 승합차를 2년간 무료로 탈 수 있도록 렌트비도 지원한다. 결혼 뒤 5년이 지나야 지원이 됐던 난임 시술비도 3년만 지나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총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65세 노인 인구는 지난 6월 기준으로 998만명을 기록했다. 2만명만 더 늘면 1000만 노인사회가 되는 것이다.
 
반면 국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내년도 합계출산율이 2.1명을 회복해도 생산가능인구는 2025년 3591만명에서 2040년 2910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출생률이 낮아진다는 것은 잠재 인력과 고객이 줄어든다는 의미로 기업과 밀접한 사안”이라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기업들도 노력할 수 있는 부분에서 총력을 다하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