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상장사 중 한계에 봉착한 '좀비기업'이 전체 5곳 중 약 1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과 고금리 기조가 겹치면서 이자비용마저 감당하기 어려워진 결과다.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내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으로 집계됐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많아진 회사를 뜻하는데, 해당 기업 비중의 경우 2016년 9.3%에서 2017년 9.2%로 소폭 감소했으나, 2018년 11.2%, 2019년 13.7%, 2020년 15.2%, 2021년 16.5% 등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증시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코스피 상장사 비율은 11.5%에 그친 반면 코스닥 비율은 20.5%에 달했다. 전경련은 코스닥 상장사가 대외 환경 리스크에 더욱 취약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당해에만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많은 '일시적 한계기업'은 작년 전체 상장사 가운데 30.8%인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첫 해인 2020년 36.4%를 기점으로 차츰 안정을 되찾는 흐름이다.
업종별로는 사업시설 관리·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30.4%),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0%), 도매 및 소매업(23.2%) 순이었다.
아울러 우리나라와 주요 6개국(미국·독일·일본·중국·영국·프랑스) 상황을 종합한 결과, 2021년 기준 한계기업 비율은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인 것으로 기록됐다.
2022년 데이터가 생성된 한국·미국·일본 3개국만 따로 놓고 보면 한국의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이 미국(28.2%), 일본(11.4%)에 비해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한 코로나19, 급격한 금리 인상, 최근의 경기 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내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으로 집계됐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많아진 회사를 뜻하는데, 해당 기업 비중의 경우 2016년 9.3%에서 2017년 9.2%로 소폭 감소했으나, 2018년 11.2%, 2019년 13.7%, 2020년 15.2%, 2021년 16.5% 등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증시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코스피 상장사 비율은 11.5%에 그친 반면 코스닥 비율은 20.5%에 달했다. 전경련은 코스닥 상장사가 대외 환경 리스크에 더욱 취약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당해에만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많은 '일시적 한계기업'은 작년 전체 상장사 가운데 30.8%인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첫 해인 2020년 36.4%를 기점으로 차츰 안정을 되찾는 흐름이다.
업종별로는 사업시설 관리·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30.4%),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0%), 도매 및 소매업(23.2%) 순이었다.
아울러 우리나라와 주요 6개국(미국·독일·일본·중국·영국·프랑스) 상황을 종합한 결과, 2021년 기준 한계기업 비율은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인 것으로 기록됐다.
2022년 데이터가 생성된 한국·미국·일본 3개국만 따로 놓고 보면 한국의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이 미국(28.2%), 일본(11.4%)에 비해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한 코로나19, 급격한 금리 인상, 최근의 경기 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