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ESG 경영한다면서 산재 사망자는 늘어?

김성훈 기자 2021-01-25 16:04:04
E(환경)에 방점...S(사회적 책임)은 소홀

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 전경[사진=LG디스플레이]

[데일리동방] 대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들도 ESG경영 열풍에 동참하고 있지만, 지난해 산업재해 사망자는 오히려 전년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ESG 기조를 내세우면서도 실제로 수익에 도움이 되는 ‘친환경’ 부문만을 강조하고, 사회적 책임에는 큰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3일 파주 LG디스플레이 공장에서는 유독성 화학물질인 수산화테트라 메틸암모늄(TMAH) 약 300~400L가 누출됐다. TMAH는 디스플레이나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세척제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액체로, 치명적인 독성이 있다.

이 사고로 협력업체 직원 총 6명이 다쳤고, 그중 2명은 중상을 입었다.

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에서는 지난 2015년에도 질소가스 누출 사고로 30대 근로자 3명이 숨지고 3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3일에는 현대차 울산 1공장에서 협력업체 직원이 고철 압축장비에 끼어 사망했다. 협력업체 직원은 설비 정지에 대한 권한을 갖지 못하는 것이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사항이 331건이나 적발됐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포항지청이 지난달 17일부터 지난 11일까지 3주간 포항제철소 사업장 전반의 안전보건조치를 감독한 결과다.

포항제철소에서는 지난달 9일 3소결공장에서 포스코 협력사의 하청업체 직원 1명이 집진기 보강공사를 하던 중 부식된 배관 파손으로 추락해 숨졌다.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도 지난해 11일 폭발로 근로자 세 명이 사망했다.

현대제철에서는 지난해 11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다. 금속노조 현대제철 울산지부는 같은 해 8월부터 식당 등에 가림막을 설치해줄 것을 사측에 요구했지만, 확진자가 나온 후에야 가림막이 설치됐다.

이마저도 확진자가 나온 온산공장 식당에만 가림막이 설치됐고, 사측은 원청 직영 임직원들만 사용할 수 있는 식당을 따로 설치했다.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근로자의 안전에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는다는 것 외에 한가지가 더 있다.

바로 그린본드를 발행했거나 발행할 예정이라는 점이다.

그린본드는 발행 자금을 환경 개선이나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만 쓸 수 있도록 목적을 제한한 채권이다. 기업이 ESG경영을 강조하면서 언급하는 것 중 하나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18년 우리돈 3300억원 규모의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현대차는 다음달 3000억원 규모의 그린본드 발행을 계획중이다.

포스코도 2019년 철강업계 최초로 ESG채권을 발행했고, 현대제철은 지난 19일 그린본드 수요예측에 성공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E·S·G 중 실제 수익과 직결되는 환경 부문, 즉 ‘E(Environment)’에만 관심을 두고 사회적 책임을 뜻하는 ‘S(Social)’에는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승연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연구원은 “환경 부문은 세계적 이슈인데다 국가 정책과도 밀접하게 연결돼있고, 비즈니스모델과 연계가 쉬워 기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경영에 도입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산재 사고 사망자 수는 총 882명으로, 2019년에 비해 27명 증가했다. 점점 더 많은 기업이 ESG를 외치고 있지만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은 후퇴한 것이다.

정 연구원은 이에 대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과 의지가 커진 것은 확실하지만, 아직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사회적 책임 평가시 ‘정책 수립’ 항목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는 기업들이 늘고 있지만, ‘효과성 평가’ 등 실제 시행 관련 항목에서는 아직 부족한 기업이 많다”는 것이 정 연구원의 지적이다.

ESG평가 항목에는 '안전 규정 확립' 등 산업안전 관련 정책 수립에 대한 항목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 평가'·'효과성 평가' 등 정책의 실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항목도 있다. 

실제로 CJ대한통운과 포스코는 지난해 근로자 사망사고로 사회적 책임경영 등급이 B+에서 B로 하락하기도 했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도 중대재해법 등 사회적 책임을 등한시한 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지만, 기업의 적극적인 의지가 없다면 사회적 책임 경영 실현은 먼 얘기일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