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 신남방] 2020년 '신남방 성과' 가시화 원년

신병근·김승현 기자 2020-01-06 07:00:00
올해도 신남방정책의 중심은 단연 금융권 수입자 보증지원, 전대금융 확대 등 지원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협조 필요한 시기

금융권의 신남방 진출 경쟁이 경자년 새해부터 뜨겁게 펼쳐지고 있다. 사진은 베트남 현지 풍경.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금융회사들이 공격적으로 신남방에서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등을 벗어나 유망한 신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다. 정부도 신남방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아세안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 중심의 교역을 뛰어 넘어 경제 영역을 확장하려는 것이다.

2020년에도 신남방은 우리 경제 정책의 핵심이다. 특히 금융권 사업 전략의 키워드다. 이른바 '금융 신남방'은 얼마나, 어떻게 전개됐고 평가되는지 살펴본다. 


[데일리동방] 문재인정부의 핵심 대외경제정책인 신남방정책은 올해 3년차를 맞아 더욱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무엇보다 금융권이 신남방정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6일 정부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2018년 8월 출범한 대통령 직속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는 부문별 준비작업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진다. 신남방특위는 우선 16개 과제·57개 사업의 정책 규모를 올해부터 19개 과제·92개 사업으로 대폭 확대했다.

이 사업들은 크게 사람(People)·상생번영(Prosperity)·평화(Peace) 등 3P 분야로 구성된다. 주형철 신남방특위 위원장(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은 올해 인도와 메콩 국가(베트남,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신남방정책의 중심에는 단연 금융회사들이 있다. 금융권이 신남방에 주목하는 이유는 매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책 성과 때문이다. 금융의 주체가 되는 인적교류의 경우 2016년 896만명에 머물렀던 상호방문객이 2018년 1171만명까지 늘었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983만명까지 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율을 나타냈다. 신남방은 한국의 제2위 교역·투자대상지다. 지난해에는 최초로 전체 수출의 20%를 넘기며 시장 다변화를 이끌었다.

국내 금융기관의 신남방 진출을 독려하기 위해 정부도 적극 지원한다. 유망 중소·중견기업은 물론 현지 수입자 대상 보증을 2022년까지 1조4000억원 지원하고, 올해 전대금융을 12개 은행으로 늘릴 예정이다.

전대금융은 수출입은행이 해외 현지은행에 자금을 빌려줘 현지기업이나 한국계 현지법인으로부터 물품을 구매하려는 현지기업 또는 한국계 현지법인에 시설, 운영비 등 필요 자금을 대출해주는 것이다.

국내 업체들의 건설 수주 지원을 위한 인프라가 확대되고 스마트시티 협력플랫폼이 구축되는가 하면, 해외 건설투자 지원기관(KIND)을 최근 설립한 것도 주요 성과다.
 

자료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또 금융권은 신남방이 디지털금융·핀테크(금융기술)의 블루오션이란 점에도 집중한다. 아세안에서 급속도로 인터넷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곳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6개국을 꼽을 수 있다.

이들 국가에서 전자결제, 해외송금, 대출, 보험, 투자 등 5개 분야로 집약되는 디지털금융의 서비스 수익은 지난해 110억 달러 수준이었다. 하지만 2025년에는 380억~600억 달러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아울러 해당 지역 인구의 낮은 금융 접근성과 취약한 금융 인프라는 국내 금융회사들에게 호재로 작용한다. 베트남 등 6개국 성인인구 중 25%가량은 은행계좌를 갖고 있지만, 대출 서비스 등에 대한 접근성이 낮다. 은행 계좌조차 갖지 못한 인구도 50%에 달한다.

이화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금융회사의 서비스가 현지 금융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가운데 인터넷·모바일의 보급 확산으로 핀테크가 빠르게 성장하며 그 간극을 채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금융사들은 서비스 접근성이 낮은 성인들에 주목하면서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현지 핀테크 선두 기업들과 협력하고, 수익 창출 통로를 다각화시킬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금융당국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아세안 금융협력센터가 설립 예정이지만 예산과 인력 등 여러 가지 걸림돌이 많다"며 "금융사들의 더 적극적인 신남방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