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SKT, AI 개발 몇 주 걸리던 작업 '10분'으로...배스트 데이터와 '소버린 AI' 속도 낸다

선재관 기자 2025-08-18 08:30:14

SK텔레콤-배스트 데이터 AI 동맹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국가 AI 인프라 구축

배스트 데이터와 '소버린 AI' 속도 낸다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가산 데이터센터. [사진=SK텔레콤]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AI 운영 시스템 기업 배스트 데이터(VAST Data)와 손잡고 엔비디아 블랙웰 GPU 기반의 국내 최대 규모 AI 인프라 최적화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자사의 AI 인프라 ‘해인(Haein) 클러스터’에 배스트 데이터의 AI 운영체제(OS)를 도입해 차세대 GPUaaS(서비스형 GPU) 환경을 구축한다. 이는 AI 모델 개발과 배포 전 과정이 국내에서 이뤄지도록 하는 국가적 소버린 AI 수요를 충족하기 위함이다.

기존 베어메탈 기반 AI 인프라는 새로운 작업을 할당하는 데 수일에서 수주가 걸리는 병목 현상이 있었다. SK텔레콤은 배스트 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페타서스 AI 클라우드’를 구축해 이 시간을 10분으로 단축하면서도 베어메탈에 가까운 성능을 확보했다. 이 인프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컴퓨팅 자원 활용 기반 강화 사업'에도 선정돼 국가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동기 SK텔레콤 AI DC 랩 총괄 부사장은 “배스트 데이터의 통합 아키텍처는 우리가 기존의 베어메탈 환경에서 완전히 가상화된, 실제 운영 가능한 AI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며 “VAST AI OS는 차세대 소버린 AI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성능, 단순성, 유연성을 제공하며 빠르고 안전하게 규모를 확장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었다”고 말했다. 이번 협력은 통신 사업자가 AI OS를 활용해 속도, 규제 준수, 비용 등을 최적화한 소버린 AI 인프라를 구축한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다.

수닐 차반 배스트 데이터 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사장은 “SK텔레콤은 국가 규모 AI 인프라의 미래를 정의하고 있다”며 “배스트는 데이터 이동, 프로비저닝, 보안과 관련된 기존의 병목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SK텔레콤이 대한민국을 위한 빠르고 유연한 소버린 AI 인프라를 대규모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