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대표 테크 기업 네이버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지분 맞교환을 통한 '기업 융합'을 공식 선언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거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양사는 향후 5년간 10조원을 투자해 AI(인공지능)와 웹3(Web 3.0)가 결합된 차세대 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발판으로 글로벌 핀테크 패권을 쥐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밝혔다.
네이버,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는 27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제2사옥 '1784'에서 3사 최고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비전을 발표했다.
이날 자리에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송치형 두나무 회장을 비롯해 김형년 부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양사의 수뇌부가 총출동해 이번 결합의 무게감을 더했다.
◆ AI와 웹3의 만남…'에이전틱 AI'로 금융 혁신
이번 융합의 핵심은 각 사가 보유한 압도적인 인프라의 결합이다. 네이버의 AI·검색 기술 및 커머스 역량, 네이버파이낸셜의 3400만 사용자 기반 결제 인프라, 그리고 두나무의 글로벌 톱티어 디지털 자산 거래량과 블록체인 기술력이 하나로 뭉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블록체인 대중화 흐름(Mass Adoption)과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일을 처리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이 맞물린 현재의 기술적 모멘텀은 새로운 기회가 열리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이 기회에 글로벌에서 새로운 혁신을 도모하자는 것에 네이버와 두나무는 뜻을 함께했다"고 합병 배경을 설명했다.
양사 창업주의 메시지는 더욱 명확했다.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의 AI 역량은 웹3와 시너지를 발휘해야만 차세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며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이 글로벌 디지털 금융산업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빠른 의사결정 체계가 필요하고 아직 글로벌 기업들이 하지 않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해야 그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빅테크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독자 생존보다는 기술 융합을 통한 '퀀텀 점프'를 선택했다는 의미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 역시 "3사가 힘을 합쳐 AI와 블록체인이 결합한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고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 나아가 생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어가고자 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 5년간 10조원 투자…K-핀테크 생태계 키운다
구체적인 실행 계획도 공개됐다. 양사는 융합 이후 국내 기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향후 5년간 10조원을 투자한다. 이는 국내 핀테크 및 블록체인 역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 계획이다. 최 대표는 "이번 딜이 완료되면 글로벌 진출을 우선에 두고 함께 일하는 문화를 구축하고 사용자-데이터-기술-서비스-자본력이라는 풀 라인업(Full Line-up)을 구축하게 되는 만큼 글로벌 웹3 시장에 과감하게 뛰어들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고 자신했다.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은 "앞으로 대부분 자산이 블록체인 위에 올라가 유통되는 토큰화가 확산될 것"이라며 "이번 기업융합을 통해 국경이 없는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한국이 선도하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합병은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의 주식을 포괄적으로 교환해 두나무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우선적으로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한 계열사 편입과 기업융합을 통한 시너지 확대에 집중하고 추가적인 지배구조변경 보다는 글로벌 시장 진출과 자본시장 접근성 확대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이번 '빅딜'로 탄생할 거대 핀테크 연합군이 AI와 블록체인이라는 미래 기술의 두 축을 양손에 쥐고 글로벌 시장에서 'K-핀테크'의 저력을 증명할 수 있을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