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금융

10월 은행 가계대출 금리 4.24%…열달 만에 상승 전환

지다혜 기자 2025-11-26 15:42:50

주택담보대출 0.02%p 오른 3.98%

예대금리차는 0.06%p 축소

서울 시내에 설치된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시장금리 상승 영향으로 지난달 가계대출 금리가 열 달 만에 처음으로 전월 대비 올랐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0월 중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중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24%로 9월보다 0.07%p 높았다.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12월(-0.07%p) 이후 올해 8월(-0.03%p)까지 하락세를 보이다 9월 정체(0%p)를 거쳐 사실상 10개월 만에 반등했다.

가계대출 중 전체 주택담보대출(3.98%)과 전세자금대출(3.78%) 금리가 0.02%p씩 올랐다. 반대로 신용대출(5.19%)은 각 0.12%p 내려 두 달 연속 하락세를 유지했다.

주담대 금리는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0.11%p 올랐지만 8∼9월 은행권의 가산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상승 폭이 제한됐고, 신용대출 금리 지표인 은행채 단기물 금리가 높아졌지만 일부 은행의 우대금리 확대 등에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떨어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금리 전망 관련해선 "현재 은행들이 가격(금리) 위주가 아니라 대출 총량 위주로 관리하는 만큼 향후 가계대출 금리는 지표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10월 기업 대출 금리(3.96%)는 0.03%p 내려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대기업(3.95%) 대출 금리가 0.04%p 올랐지만, 중소기업(3.96%) 대출 금리가 0.09%p 내려갔다.

한은은 대기업 금리는 9월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정책금융이 확대된 뒤 기저 효과로 상승한 반면, 중소기업 금리의 경우 10월 정책대출이 집행되면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가계와 기업을 통틀어 전체 은행권 대출금리(4.02%)는 0.01%p 소폭 하락했다.

월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57%로 9월(2.52%)보다 0.05%p 높았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2.56%)와 금융채·CD(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2.61%)가 각 0.04%p, 0.07%p 올랐다.

대출금리가 하락하고 예금금리는 상승하면서 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를 말하는 예대금리차(1.45%p)는 0.06%p 줄었다.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2.18%p)도 0.01%p 축소됐다.

은행 외 금융기관들의 예금 금리(1년 만기 정기 예금·예탁금 기준)는 상호저축은행(2.79%), 신용협동조합(2.76%), 상호금융(2.61%), 새마을금고(2.73%)에서 각 0.19%p, 0.02%p, 0.02%p, 0.03%p씩 하락했다.

대출금리의 경우 신용협동조합(4.55%·-0.06%p), 상호금융(4.36%·-0.08%p)에서 떨어지고 상호저축은행(10.00%·+0.81%p), 새마을금고(4.39%·+0.29%p)에서 올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