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금융

관세 불확실성 걷히자 소비심리 '반등'…8년 만에 최고 수준

지다혜 기자 2025-11-25 10:53:21

관세협상 타결·3분기 성장률 개선 효과

주택가격전망지수는↓…6·27 대책 比 높아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내·외국인들로 북적이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소비자들의 경제 심리가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회복했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 상회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2.4로, 전월보다 2.6p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7년 11월(113.9)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11월에는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향후경기전망이 102로 8p오르며 상승 폭이 가장 컸고, 현재경기판단(96·5p), 가계수입전망(104·2p), 생활형편전망(101·1p) 등도 나란히 개선됐다.

현재생활형편(96)과 소비지출전망(101)은 전월과 같았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3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 상회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심리지수가 상승했다"며 "계엄 사태 이후 많이 낮아졌다가 미 관세 불확실성 등이 해소되면서 기저효과로 많이 올라왔다고 분석된다"고 말했다.

11월 주택가격전망지수(119)는 전월 대비 3p 하락했으나, 6·27 대책 직후인 7월(109)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6개월 후 금리 수준을 예상하는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0월 95에서 11월 98로 상승했다.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과 같은 2.6%로 유지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