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82(2020년 수준 100)로 전월 대비 0.2%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9월(0.4%)에 이어 두 달 째 오름세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산물(-5.5%)과 축산물(-5.4%)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4.2% 하락했다. 시금치(-47.5%)와 배추(-26.1%), 돼지고기(-14.2%)의 가격 안정세 영향이다.
공산품은 반도체 가격이 오르면서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9%), 1차금속제품(1.3%)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산업용도시가스(-5.4%)와 폐기물수집운반처리(-1.6%) 등이 내려 0.6% 하락했다.
서비스 부문은 0.5% 상승했다. 금융 및 보험서비스(2.9%),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5%) 등이 오른 데 기인한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D램(28.1%), 플래시메모리(41.2%), 물오징어(18.5%), 금괴(13.3%), 호텔(10.7%)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D램이나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수요 강세가 이어지면서 반도체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10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월보다 0.9% 상승했다. 지난 7월(+0.8%)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로, 지난해 4월(1.0%) 이후로는 1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원재료(1.5%)와 중간재(1.0%), 최종재(0.3%)가 모두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0월 총산출물가지수는 1.1% 올랐다. 공산품(1.9%), 서비스(0.5%)가 모두 상승했다. 이 역시 지난해 4월(1.2%)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생산자물가는 반도체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부분이 작용했고, 공급물가지수와 총산출물가지수 산출에 포함되는 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가 모두 환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올랐다는 게 한은 측 설명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한화에너지·한화솔루션 집안 싸움...법원, 강제조정 돌입](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20/20251120165838549546_388_136.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