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23일(현지시간) 4년간 지속된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 프레임워크’를 제네바에서 마련했다고 공동성명을 통해 밝혔다. 미 국무부는 양국 대표단이 회동을 통해 평화 구상을 업데이트하고 구체화했다고 설명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회담에서 평화안 조율에 나섰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특사와 백악관 선임 고문으로 활동 중인 재러드 쿠슈너 등도 참석했다. 양측은 회담이 건설적이고 상호 존중 속에서 진행됐으며,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평화 달성을 위한 공동 의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은 “향후 합의는 우크라이나 주권을 온전히 보장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했고 우크라이나 측은 미국의 지속적 지원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양국은 며칠간 프레임워크를 추가 논의하고 유럽 파트너들과도 협의할 계획이다.
백악관은 설명 자료에서 루비오 장관이 “우크라이나 주권과 안보, 경제 번영이 외교 과정의 중심임을 강조했다”고 전했으며,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수정된 초안이 자국 이익을 반영한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평화안 초안을 바탕으로 진행됐으며 해당 초안에는 동부 돈바스 지역 양보, 군 규모 축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금지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와 유럽은 러시아 측 입장이 반영됐다는 이유로 반발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기자회견에서 초안이 최종안이 아님을 밝힌 바 있다.
루비오 장관은 “우크라이나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어야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협상 진전을 강조했으며, 예르마크 비서실장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도 미국 측과의 대화가 진행 중이라는 점과 목소리가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