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각 금융지주사 실적 발표에 따르면 신한·하나캐피탈은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30% 이상 급감했다. 신한캐피탈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920억원으로 전년 동기(1526억원) 대비 39.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이자·비이자 수익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2764억원)보다 8.2% 감소한 2537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대손충당금 전입액도 1357억원으로 전년 동기(821억원) 대비 65.2% 급증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나캐피탈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641억원으로 전년 동기(1212억원) 대비 47.1% 급감했다. 하나캐피탈은 본업인 이자이익이 400억원 가까이 줄고 매매평가·기타영업이익이 적자 전환하는 등 수익성 악화를 겪었다.
KB·우리금융캐피탈의 경우 매출이 확대됐으나 건전성 관리 비용 부담으로 순익이 감소했다. 올해 3분기 KB캐피탈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대손충당금 확대의 영향으로 1945억원으로 전년 동기(1957억원) 대비 12억원(0.6%) 줄었다.
우리금융캐피탈의 당기순이익도 1150억원으로 전년 동기(1160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특히 영업수익이 200억원 가까이 확대됐으나 판관비·대손비용 등의 증가 폭이 더 컸다.
캐피탈사의 비용 부담·실적 하락은 신규 수익원 창출을 위해 확대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로 건전성이 악화된 영향이다. 최근 급격한 건설 경기 악화로 인해 부실 여신이 늘어나면서 건전성 관리 비용 부담이 높아졌다.
다만 업계는 부실채권 매각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어 향후 대손 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반면 NH농협캐피탈은 금융지주계열사 중 유일하게 순익 개선에 성공했다. NH농협캐피탈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874억원으로 전년 동기(709억원) 대비 23.2%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1254억원으로 전년 동기(937억원) 대비 33.8% 성장했다. 이는 주식시장 호황의 영향으로 투자손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또한 대손충당금전입액도 1020억원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NH농협캐피탈 관계자는 "최근 시장 상황이 좋았고 지난 2023년, 2024년 진행했던 투자 사업이 좋은 실적을 냈다"며 "건전성 개선을 통해 대손비용도 감소한 결과 순익이 성장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12/20251112151738303931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