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SK그룹 내에서 AI를 중심으로 한 사업 재편의 큰 그림이 구체적인 '빅딜'로 드러났다. AI 사업지주회사를 선언한 SK네트웍스가 SK스퀘어로부터 국내 3대 미디어렙사 '인크로스'를 인수했다. 이는 단순한 계열사 간 지분 거래를 넘어 최태원 회장이 강조해 온 'AI 피라미드 전략' 아래 각 사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는 그룹 차원의 정교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SK네트웍스는 지난 30일 이사회를 열어 SK스퀘어가 보유한 인크로스 지분 36.06%를 392억원에 인수하는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겉보기에는 SK스퀘어가 투자 자산을 현금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SK그룹 AI 생태계의 각기 다른 퍼즐 조각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이번 인수의 가장 큰 의미는 SK네트웍스가 'AI 사업지주회사'라는 정체성을 강화할 핵심 자산을 확보했다는 점이다. SK네트웍스는 전통적인 상사, 렌털 사업에서 벗어나 AI 기술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한 바 있다. 실제로 2023년에는 국내 대표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Upstage)에 2024년 5월에는 'AI 핀'으로 유명한 미국 휴메인(Humane)에 각각 100억원 이상을 투자하며 AI 기술 확보에 공을 들여왔다. 이번 인크로스 인수는 이렇게 확보한 AI 기술을 접목할 '데이터 플랫폼'을 품에 안았다는 의미를 갖는다.
인크로스는 단순한 광고 대행사가 아니다. 디스플레이 광고(DA), 검색 광고(SA)를 집행하며 쌓은 방대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는 AI 모델을 학습시키고 고도화하는 데 필수적인 '원유'다. 특히 SK텔레콤 가입자 데이터를 활용한 커머스 플랫폼 'T딜(T deal)'은 SK네트웍스가 보유한 SK렌터카, SK스피드메이트, 워커힐, 민팃 등 B2C 사업과 직접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강력한 무기다. SK네트웍스 관계자의 말처럼 "인크로스 사업경쟁력의 원천인 방대한 소비자 데이터와 SK네트웍스가 보유한 AI 활용역량 및 데이터 관리 기술을 연계해 사업 인수 시너지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은 매우 구체적인 청사진이다.
반면 2021년 11월 1일 SK텔레콤에서 인적분할해 출범한 투자전문회사 SK스퀘어는 이번 매각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명확히 했다. SK스퀘어는 유망 기술 기업을 발굴·육성한 뒤 적절한 시점에 '엑시트(투자금 회수)'하여 미래 기술에 재투자하는 임무를 띠고 있다. 이번 거래에 대해 SK스퀘어 관계자는 “AI 인프라∙반도체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으며 인크로스 지분 유동화를 통해 미래 투자재원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그룹의 AI 전략에 맞춰 비핵심 자산을 정리하고 AI 반도체 등 하드웨어 인프라 투자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올해 1월 CES 2024에서 제시한 'AI 피라미드 전략'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 전략은 △AI 반도체 등 하드웨어 인프라 △개인화된 AI 에이전트 서비스 △두 기술을 아우르는 AI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이번 거래를 통해 SK스퀘어는 피라미드의 기반인 'AI 반도체' 투자에 SK네트웍스는 AI 플랫폼과 서비스를 구체화할 '데이터' 확보에 집중하게 되면서 그룹 내 역할 분담이 더욱 명확해졌다.
결국 이번 빅딜은 SK그룹 AI 전략의 중간 기착지다. SK네트웍스는 인크로스의 안정적인 현금 창출력을 바탕으로 재무 건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광고 데이터를 활용해 AI 서비스의 정확도를 높이고 자사 B2C 사업의 마케팅을 고도화할 전망이다. SK스퀘어는 확보한 '실탄'으로 유망 AI 반도체 기업 M&A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SK그룹이 그리는 AI 제국의 밑그림이 이번 '형제간 딜'을 통해 한층 더 선명해졌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APEC] 李대통령 APEC의장으로 정상회의 주재…협력과 연대가 해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1/20251031112344956312_388_136.jpg)
![[2025APEC] 시진핑, APEC 정상회의장 도착…李대통령 첫 대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1/20251031102510811544_388_136.jpg)
![[2025APEC] 신동빈 롯데 회장, 각국 정상·글로벌 CEO와 협력 방안 논의](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1/20251031094918850784_388_136.jpg)





![[2025APEC] 젠슨 황 엔비디아 성공은 한국 e스포츠 덕분…이재용·정의선과 AI 동맹 과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0/30/20251030233619755980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