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문화재 복원에 필요한 전통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정부 비축 사업이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가유산청을 상대로 문화재 복원용 전통재료 비축 사업 관리 부실을 지적했다. 박 의원은 "계획과 실제 비축량 격차가 지나치게 커 예산 관리 체계 전반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계획과 실제 비축량 간 격차가 10배 이상 벌어지며 신설 2년 차를 맞은 국가유산청의 예산 집행 구조에도 허점이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이 이날 공개한 국가유산청 자료에 따르면 '전통재료 비축·공급 사업' 실적은 법정 계획과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2024년에는 목재 3만6174재를 비축할 계획이었지만, 실제 비축량은 4414재(12%)에 불과했다.
반면 올해 8월 말 기준으로는 계획(1만3635재)의 9.8배에 달하는 13만3584재(979%)를 비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계획에 없던 석재를 예산 잔액으로 구입하는 등 관리 기준도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유산청은 작년 문화재청에서 분리돼 신설된 기관으로 국가유산의 보존·관리 체계를 통합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같은 해 설립된 국가유산수리재료센터를 통해 전통재료를 비축·관리하고 있으나 올해까지 운영비·인건비 등으로 61억6400만원이 투입됐음에도 사업 계획성과 효율성 모두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는 평가다.
박 의원은 "우리 유산 보존을 위한 전통재료 비축이 계획과 전혀 다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전통재료의 생산·수요를 면밀히 분석해 중장기 목표와 현실적인 집행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