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KT 소액결제 피해자, 19명 더 있다…'축소·은폐' 의혹 재점화

선재관 기자 2025-10-02 16:36:35

황정아 의원실, KT·경찰 자료 교차 분석 결과 공개

발표에 없는 피해자·시간대 속속 드러나…"추가 불법 기지국 존재 가능성"

KT 소액결제 피해자, 19명 더 있다…‘축소·은폐’ 의혹 재점화[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KT가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피해자로 공식 발표한 362명 외에 최소 19명의 피해자가 더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KT와 경찰의 피해자 명단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KT가 사건의 실체를 고의로 축소·은폐하고 있다는 비판이 다시 거세지고 있다.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KT와 경찰청으로부터 각각 제출받은 자료를 교차 분석한 결과 지난달 23일 기준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 214명 중 19명이 KT의 전수조사 명단에서는 누락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황 의원실은 결제 일시, 장소, 피해액 등을 정밀하게 비교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예를 들어 KT는 자동응답전화(ARS) 인증만을 기준으로 한 조사 결과에서 8월 6일 동작구의 특정 시간대에만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지만 경찰 조사에서는 KT가 언급하지 않은 오후 2시 6분에 49만 5천 원의 피해를 본 피해자가 존재했다.

황정아 의원은 “결제 시간이 일부 차이 나는 경우에도 금액이 유사하면 집계에서는 제외하는 등 결과를 최대한 보수적으로 산출했음에도 19명의 추가 피해자가 드러난 것은 KT의 고의적인 축소·은폐 때문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KT가 피해가 없었다고 밝힌 시간대에도 다수의 피해자가 확인되면서 KT가 파악한 4개의 불법 기지국 ID 외에 추가적인 불법 기지국이 존재할 가능성이 강력하게 제기됐다.

황 의원은 “9월 2일, KT는 오전 7시 10분 이후 피해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했지만 경찰 파악으로는 오전 8시 50분부터 오후 1시 4분까지 부평구, 부천시 일대에서 4명의 피해자가 나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특정 시간대의 피해 상황을 KT가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추가 불법 기지국 ID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피해 시간대 자체가 완전히 누락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는 KT가 고객 민원(VOC)과 ARS 인증 기록에만 의존해 4개의 불법 기지국 ID를 기준으로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만약 추가 불법 기지국이 존재한다면 KT의 조사는 처음부터 잘못된 전제 위에서 이뤄진 셈이 된다.

황 의원은 또한 KT가 파악하지 못한 피해자들이 경찰 조사에서 카카오톡 결제 내역 수신 및 로그아웃, 네이버 인증 수신 및 로그아웃 등을 경험했다고 진술한 점을 지적하며 KT의 ARS 위주 조사가 피해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KT는 “피해 상황을 확인 중”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어 사건의 진상 규명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