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AWS 칼야나라만 부사장, "SK와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협력, 韓 AI 혁신 분수령 될 것" 

선재관 기자 2025-09-04 10:25:00

SK·AWS 손잡고 韓 AI 심장부 만든다

울산 데이터센터, '글로벌 경쟁력' 정조준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서비스 부사장. [사진=SKT 뉴스룸]

[이코노믹데일리] "단순 인프라 구축 넘어섰다"…AWS 임원이 밝힌 '울산 AI 데이터센터'의 진짜 의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인프라 총괄 부사장이 SK그룹과 울산에 구축하는 인공지능(AI) 전용 데이터센터가 “한국 AI 혁신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강력한 기대감을 표했다.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서비스 부사장은 4일 SK텔레콤 뉴스룸 인터뷰를 통해 “SK그룹과 AWS는 단순히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AI 혁신과 AI 리더십의 새로운 장을 여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 AWS 및 그룹 계열사들과 함께 2027년 가동을 목표로 국내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를 울산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칼야나라만 부사장은 이번 협력이 단순한 인프라 사업을 넘어 한국이 글로벌 AI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울산 데이터센터 내부에 조성될 ‘AWS AI 존’을 통해 한국 기업들이 현지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AI 최적화 컴퓨팅 시스템 △초고밀도 랙 구성 △공랭·수랭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 △초저지연 네트워크 등 AWS의 최첨단 기술이 울산 데이터센터에 그대로 적용될 것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AI 관련 작업을 직접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고 글로벌 AI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AWS는 자체 설계한 AI 칩 ‘트레이니엄·인퍼런시아’와 생성형 AI 플랫폼 ‘아마존 베드록’ 등을 통해 이미 AI 혁신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칼야나라만 부사장은 “최근 발표한 칩은 이전 세대 대비 에너지 효율이 3배 향상됐다”며 AI 반도체뿐만 아니라 냉각, 전력, 네트워크 등 인프라 전반에서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SK그룹과 AWS는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엣지 컴퓨팅 역량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생성형 AI 수요를 맞출 수 있도록 광범위하고 전략적인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이 한국 내 AI 생태계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