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미국 내 공장 건설 보조금을 지원 받는 반도체 기업의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하고 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인텔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조건으로 10% 지분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TSMC 같은 다른 글로벌 기업에도 유사한 방식이 적용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확정된 사안은 아니며 아직 검토 단계 이르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TSMC에 66억 달러, 삼성전자에 47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합의했었다. 이에 대해 러트닉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사실상 TSMC에 돈을 공짜로 퍼줬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 돈을 지분으로 전환해 미국인의 이익을 확보하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는 경영권 확보가 아닌 단순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당한 지분 전환"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업계 일각에서는 '보조금을 지분으로 환수한다'는 접근 방식 자체가 사실상 특정 기업의 소유 구조에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단순한 투자 성격을 강조하더라도, 세계 최대 반도체를 생산 중인 우리나라 기업 삼성전자에 대해 미국 정부가 직접 지분을 확보한다면 경영권과 무관하게 시장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만약 인텔의 지분 인수 사례와 동일한 방식이 삼성전자에 적용될 경우, 미국 정부는 보조금 47억 달러를 활용해 삼성전자 지분 약 1.58%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삼성전자 시가총액(19일 기준)을 기준으로 산출된 수치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한국·일본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한국과 일본이 약속한 9천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는 단순히 중국 인프라 보완에 쓰일 것이다"라며 "반도체, 파이프 라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등 국가·경제 안보와 직결된 인프라 확충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삼성전자와 TSMC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이와 관련한 공식 입장을 아직 내놓지 않은 상태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