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SKT, 6월 점유율 39%로 추락…알뜰폰은 1000만 가입자 돌파

선재관 기자 2025-08-09 13:32:46

'해킹 사태' 후폭풍, 40% 붕괴·알뜰폰 '역대급' 성장

SK텔레콤이 지난 4월 발생한 해킹 사태 이후 통신사를 변경하는 가입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를 결정한 가운데 6일 서울 시내의 한 SK텔레콤 대리점에 '고객 감사 패키지' 안내문이 띄워져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의 40% 점유율 철옹성이 마침내 무너졌다. 지난 4월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 여파로 가입자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지각변동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8일 공개한 '6월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SK텔레콤 가입자는 2235만670명으로 전체 시장의 39%를 차지했다. 해킹 사태로 처음 40%선이 무너졌던 5월(39.29%)보다 0.29%포인트 추가 하락한 수치다. 이로써 SK텔레콤의 점유율은 4월 40.08%를 기록한 이후 석 달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SK텔레콤이 잃은 파이는 경쟁사들이 고스란히 흡수했다. 같은 기간 KT는 1366만1813명(23.84%), LG유플러스는 1118만347명(19.51%)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전월 대비 점유율이 각각 0.07%포인트, 0.06%포인트 상승하며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렸다.

이번 시장 재편의 가장 큰 수혜자는 알뜰폰이었다. 알뜰폰은 6월 가입자 1011만684명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1000만 가입자' 시대를 열었다.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64%까지 치솟았다. 고물가 시대에 저렴한 요금제를 앞세운 알뜰폰이 통신사에 실망한 고객들을 대거 흡수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점유율 하락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난 4월 발생한 유심 해킹 사태다. 당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되며 고객 신뢰에 치명타를 입었다. SK텔레콤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사고 이후 번호이동을 통해 이탈한 고객만 약 105만명에 달한다.

이번 사태는 SK텔레콤의 브랜드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혔을 뿐 아니라 수십 년간 고착됐던 'SKT 40%, KT 30%, LGU+ 20%'라는 시장 공식을 완전히 깨뜨렸다. 향후 SK텔레콤은 이탈 고객을 되찾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파격적인 마케팅과 보안 강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알뜰폰의 약진과 맞물려 국내 통신 시장의 경쟁 구도는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