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 사고 여파로 2분기 부진한 실적표를 받았다.
SKT는 6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3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1%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3388억원으로 1.9%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832억원으로 76.2%나 급감했다. 사이버 침해 사고에 따른 고객 유심 교체와 대리점 손실 보상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결과다.
회사는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인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대규모 보상 및 투자 계획을 내놨다.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으로 명명된 이 계획은 고객 피해 방지를 위한 ‘고객 안심 패키지’와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7000억원 투자, 전 국민 대상의 5000억원 규모 보상 혜택을 담은 ‘고객 감사 패키지’로 구성된다.
SKT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정보보호 체계 구축을 목표로 향후 5년간 투자를 집행하고 8월 한 달간 통신 요금 50% 감면과 연말까지 매월 데이터 50GB 추가 제공 등 고객 보상안을 즉시 시행한다.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도 인공지능(AI) 사업은 SKT의 성장 동력 역할을 톡톡히 했다. 2분기 AI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성장했다.
특히 AI 데이터센터(DC) 사업은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13.3% 증가한 108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고 AI 전환(AIX) 사업 역시 기업간거래(B2B) 솔루션 판매 확대로 15.3% 성장했다.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이닷’은 누적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하며 순항 중이다.
SKT는 AI를 미래 성장 발판으로 삼아 위기를 정면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6월 발표한 울산 하이퍼스케일 AI 전용 데이터센터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 향후 서울 구로 DC까지 가동되면 총 300MW 이상의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를 통해 2030년 이후 연간 1조원 이상의 AI DC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본업인 통신의 신뢰를 재정비하는 동시에 ‘돈 버는 AI’ 전략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복안이다.
김양섭 SKT CFO는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를 냉정하고 되돌아보고 철저하게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다시 시작하는 SK텔레콤의 변화와 도약에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