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MS 셰어포인트 '제로데이' 해킹…미·독 정부기관 등 100곳 피해

선재관 기자 2025-07-22 09:41:58

'백도어' 심어 내부망 장악…드러난 피해는 시작일 뿐

내부 문서 다 털릴 판…서버 SW 해킹, 8000곳이 위험

MS 셰어포인트 '제로데이' 해킹…미·독 정부기관 등 100곳 피해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정부 기관과 기업들이 내부 문서 공유에 사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서버 소프트웨어(SW)를 노린 제로데이 해킹 공격이 발생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정부 기관을 포함한 100개 기관이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으며 잠재적 피해 대상은 8000곳이 넘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이번 공격은 MS의 협업 도구인 '셰어포인트(SharePoint)'의 자체 호스팅 버전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해커들은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은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서버에 침투하고 장기간 내부 접근이 가능한 백도어(은밀한 접근 통로)를 심는 방식으로 공격을 감행했다. 셰어포인트가 기업의 핵심 문서 공유와 업무 자동화에 사용되는 만큼 해킹 시 내부 정보 유출 및 조작 등의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

네덜란드 사이버 보안 기업 아이 시큐리티(Eye Security)와 섀도우서버 재단은 조사를 통해 미국과 독일에 있는 다수의 정부 기관을 포함 약 100개 조직이 피해를 입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 보안 전문가는 "이는 명백한 해킹이며 다른 공격자들이 어떤 백도어를 더 심었는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며 추가 피해 가능성을 경고했다.

문제는 이번 공격이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 장비 탐색 사이트 쇼단(Shodan)에 따르면 인터넷에 연결된 셰어포인트 서버는 8000개가 넘는다. 이들 대부분이 이미 해킹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서버들에는 대형 기업, 은행, 회계법인, 의료 회사 등 민감 정보를 다루는 기관들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MS 측은 보안 업데이트를 이미 제공했다며 고객들에게 즉시 설치할 것을 권장했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성명을 통해 이번 공격을 인지하고 있으며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해킹의 배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