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정책

[로컬FOCUS] 생활 교통서비스 개선… 시민 체감형 정책 강화 '인천'

권석림 기자 2025-07-16 10:38:55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설명회… 주민 의견 직접 청취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가 시민 체감형 지속 가능한 교통정책을 펼친다. 원도심 주차 20만면 확보로 더 편리한 생활환경 조성에 나선다. 시내버스 노선 확대·버스 증차·편의시설도 확충한다.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시민 삶의 질 개선과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 일상 속에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교통정책을 대폭 확대해 나간다.

시는 원도심 지역의 고질적인 주차난 해소를 위해 2030년까지 6년간 20만면의 주차면을 단계적으로 확보해 현재 43% 수준인 주차율을 80%까지 끌어올리는 ‘원도심 주차면 확충 사업’을 추진한다.

상반기에는 주차공간 2709면을 공급해 목표 대비 56%의 실적을 달성했다. 공유주차는 4949면 확보로 24%의 달성률을 보였다. 하반기에 중앙근린공원 공영주차장(294면) 착공을 시작으로, 구월근린공원 등 23개소 2735면이 추가 공급된다. 

공공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최대 1만6540면의 공유주차면을 확보해 연말까지 목표를 초과 달성할 계획이다.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 혼잡 해소를 위해 중련열차(2편성 이상 연결 열차)도입을 위한 기반 개선사업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혼잡한 출퇴근 시간대 수송 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련열차 운행 환경구축을 위해 경계선로 이설, 승장장 안전설비 보강, 안내방송 시스템 개선 등 환경개선 사업도 추진한다.

신도시와 원도심을 연결하는 시내버스 노선 조정과 증차도 나선다. 광역버스 증차 및 노선 증설로 출퇴근 편의도 향상한다. 수도권 광역교통 체계 안정을 위해 M버스의 준공영제 전환과 국비 확보도 병행 추진 중이다.

또한 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가장 자주 이용하는 버스정류장의 환경 개선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에는 쉘터 125개소, 조명등 126개 등 143개 편의시설이 새롭게 설치된다.

특히 여름철 폭염과 겨울철 한파 대응을 위해 에어송풍기와 온열의자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 수단도 대폭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 시는 시범적으로 와상장애인 이동 지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관내 응급환자이송업체(3개사 22대)와 협약을 맺었다. 사설구급차을 활용한 시범사업 운영을 시작했다. 예산은 약 7560만원이 투입된다. 앞으로 운영 성과에 따라 정규 사업화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장애인 콜택시의 브랜드화 작업도 병행되고 있다. 네이밍 공모전과 시민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다. 오는 10월 공식 인계식을 열 예정이다.

김인수 시 교통국장은 “시민 한 분 한 분의 출퇴근과 일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교통정책을 만들기 위해 항상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교통 복지 실현을 위해 인천 전역 어디서나 편리하고 안전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진행됨에 따라 오는 18일까지 구역별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과 기본계획 수립 방향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를 돕고, 주민 의견을 수렴해 기본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의 주요 내용, 기본계획 수립 방향, 특별정비예정구역 지정 및 공공기여 기준 등에 대해 안내할 예정이다. 현장 질의응답을 통해 주민 의견을 직접 청취하며 실질적인 소통의 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현재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오는 9월까지 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10월부터 주민공람과 시의회 의견 청취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2026년 3월 최종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할 계획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