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산업

트럼프 2기 행정부, 현대차그룹에 탄소중립 기회로 작용

박연수 기자·김지영 수습기자 2025-02-25 06:00:00

타 국가 완성차 기업 탄소 절감 정책에서 뒤처져

기업만이 해결 불가…정부의 지원 필요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태양광 자가발전 시설 [사진=현대차]
[이코노믹데일리] 트럼프 2기 행정부 덕에 잠시 주춤한 글로벌 탄소중립 로드맵이 현대자동차그룹에게는 기회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이 절호의 기회를 잡기 위해선 기업과 정부의 동반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현대차그룹은 사용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RE100'을 글로벌 권고 목표인 2050년보다 5년 빠른 2045년까지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타 완성차 기업들은 2030년 달성을 목표로 달리고 있어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김기남 ASL 변호사는 24일 "완성차 기업들이 모두 각사 만의 기준으로 탄소중립 목표를 세우기에 단일한 기준을 통한 비교는 어렵지만, 현재 상황에서 볼보, 메르세데스-벤츠 등 기업에 비해 현대차그룹의 탄소중립 속도가 느린 건 명확하다"며 "해외 시장에서 미래 상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 전부터 화석연료로의 회귀를 주장해오면서 당선 직후 환경에 도움을 주는 정책을 세우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철회하려는 등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선 탄소중립은 피할 수 없는 방향이라 평가한다. 실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핑크 회장은 실적 발표회에서 "저탄소 전환 같은 거대한 동력은 장기적인 성장 궤도를 그리며 경제의 체질을 바꿔나가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유럽연합(EU)이 올해 12월까지 시범 시행 기간을 거쳐 내년 본격 시행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통해 EU에 수출하는 제품의 탄소 배출량에 따라 추가 세금을 부과할 전망이기에 기업의 탄소저감은 불가피하다. 

이에 유럽 완성차 기업은 발빠르게 탄소 저감 대책을 마련하며 상품 경쟁력을 올리고 있다. 

지난 2023년 세계에너지시장정보에 따르면 스웨덴 완성차 기업 볼보는 유럽 내 여러 공장을 이미 100%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운영하고 있다. 또 해상 운송에서 재생가능한 연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있다. 화석연료 대신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해 연간 5만5000톤(t)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있다.

독일 완성차 기업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 2022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후 2030년까지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80% 줄이겠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BMW도 스코프3 실천을 위해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40% 감축하는 계획을 밝혔다. 스코프3는 기업의 직접적인 통제 범위를 넘어서, 공급망 전체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현대차그룹은 전력구매계약(PPA)의 규모에서도 타 완성차 기업에 밀리고 있다. PPA는 전력 생산자인 발전소와 기업이 전력을 직접 거래하는 계약이다. 

지난해 한전경영연구원이 발간한 '2024년 전력사업 경영환경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현대건설과 내년까지 연 64기가와트시(GWh) 태양광 조달하겠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지난 18일 미국 전기차(EV) 기업 테슬라는 스페인 재생에너지 기업 젤레스트라와 연간 130GWh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계약을 성사시켰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약 2배 수준이다. 

타 기업에 밀리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빠른 탄소저감을 위해 전문가들은 기업의 노력과 함께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완벽한 탄소중립은 기업이 혼자 감당하기는 어렵기에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