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NHN두레이, 올해 '두레이 AI'로 공공·금융권 고객사 확보 속도

이지환 수습기자 2025-02-18 17:24:53

지난해 매출 30% 증가…두레이만 50% 이상 성장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으로 금융권 진출…국내 협업툴 최초

상반기 내 행정기관·지자체 행정망 적용

NHN두레이가 지난해 매출 성장률 30%를 기록했다. [사진=NHN두레이]

[이코노믹데일리] 엔에이치엔 두레이(NHN두레이)는 지난해 매출이 30% 성장했다고 18일 밝혔다. 올해는 '두레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공공영역과 금융권 내 고객사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두레이는 지난 2019년 9월 서비스를 시작해 △프로젝트(협업) △메일 △메신저 △전자결재 등 다양한 기능을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협업 서비스'로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10월에는 협업 능률과 업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두레이 AI를 선보이며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했다.

NHN두레이는 서비스를 통한 양적·질적 생산성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 결과 지난해 매출 증대 및 고객사 확보를 동시에 달성했다. 지난해 NHN두레이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했으며, 특히 두레이 서비스는 51% 성장률을 기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NHN두레이는 두레이 AI를 중심으로 구독형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매출 50%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NHN두레이는 지난해 말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에 지정돼 금융권에 진출했으며 국내 협업툴 최초로 금융 기관 내부망에 SaaS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했다. 두레이는 현재 △우리금융지주 △우리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IBK기업은행 등 4곳에 혁신금융서비스로 두레이를 도입했다. 향후 금융권 망분리 정책 완화에 힘입어 더 많은 고객사를 확보하고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방침이다.

또한 금융권 외에도 공공영역 고객사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공공영역 내 협업툴 도입 1위인 NHN두레이는 지난해에만 40여개의 고객사를 확보하며 총 120여곳의 고객사에 두레이를 제공하고 있다. 두레이를 도입한 대표 기관으로는 △근로복지공단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 △한국공항공사(KAC)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등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메일 시스템을 두레이로 변경해 활용하고 있다.

아울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에도 두레이가 올 상반기 내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행정망 내 SaaS형 서비스 도입이 어려웠던 행정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두레이를 활용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계기로 행정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두레이 활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NHN두레이는 기존 두레이를 활용하고 있는 공공기관에 두레이 AI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향도 검토하고 있다.

백창열 NHN두레이 대표는 "지난해 두레이 AI를 공개한 이후 수많은 공공기관에서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협업문화 확산에 강한 관심을 보여왔다"며 "두레이는 보안 정책 아래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는 금융기관 내 디지털 기반 업무 문화 조성과 더불어 공공기관 내 AI 중심의 협업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전사적 노력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